코로나19 영향으로 경기 불황이 지속돼 1년 후 서울시민들의 삶이 더욱 팍팍해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또 오는 4월 치러질 21대 국회의원 총선거를 통해 시민들은 경제와 일자리 분야 정책 개선을 가장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연구원은 22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1분기 서울시 소비자 체감경기와 21대 총선 관련 경제 이슈' 정책리포트를 발표했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서울시민의 체감경기를 대표하는 '소비자태도지수'는 올해 1분기 82.8점으로 전 분기 대비 10.5포인트 감소했다. 소비자태도지수는 100점을 넘으면 경제전망이나 소비지출 전망을 긍정적으로 본다는 뜻이고, 100점보다 낮으면 그 반대를 뜻한다.
순자산지수는 상승했지만 고용상황전망지수는 하락했다. 코로나19 장기화 전망에 따라 향후 소비자태도지수는 추가 하락 가능성이 높은 상태다.
소비자태도지수의 구성요소 중 하나인 현재생활형편지수는 전 분기 대비 11.2포인트 하락한 73.7점을 기록한 것으로 조사됐다.
미래생활형편지수도 전 분기 대비 3.7포인트 하락한 85.4점으로 나타났다. 이는 향후 가계소득 감소, 경기불황, 물가상승, 가계부채 증가 등의 이유로 1년 후 가구 생활형편이 악화될 것으로 보는 가구가 늘어났기 때문이다.
올해 1분기 서울시민의 내구재 구입태도지수는 전 분기 대비 5.9포인트 하락한 78.7점이다. 주택 구입태도지수는 전 분기 대비 19.1포인트 하락한 52.8점으로 조사됐다. 3분기 연속 상승하던 주택 구입태도지수도 하락으로 전환했다.
서울시민은 21대 총선이 경제에 미치는 파급력이 높을 것(40.2%)으로 예상했다. 하지만 파급 방향은 중립 49.8%, 악화 24.7%로 부정적인 시각이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세부적으로 총선이 미치는 파급력이 높다고 응답한 분야는 △건강보장 35.4% △주택가격 수준 32.9% △생활물가 수준 27.8% △청년실업 및 고용여부 27.4% 순이었다.
총선의 파급력 방향을 호전으로 응답한 비율이 높은 분야는 복지수준 17.0%, 주택가격 수준 14.7%, 건강보장 13.4% 순으로 조사됐다.
총선으로 개선되기를 바라는 분야를 묻는 질문에는 1순위만을 기준으로 했을 때는 '산업/경제'가 25.6%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1순위부터 3순위까지 통합해 집계한 결과로는 '일자리/취업이 56.5%로 가장 많은 선택을 받았다.
최봉 서울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서울시민은 총선이 서울경제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며 "총선에 따른 민생경제 호전을 기대한다는 응답은 24.5%로 기대하지 않는다는 응답 53.6%보다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고 설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