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삼성전자 제조전문가들이 경기도 안성시 E&W 마스크 공장에서 설비를 점검하고 있다.[사진=삼성전자 제공]
삼성이 코로나19로 인해 국내 마스크 부족이 지속됨에 따라 마스크 제조기업에 기술을 전수하는 등 생산량 확대 지원에 나섰다.
삼성은 국내 마스크 제조기업이 기존 설비를 활용해서 생산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기술을 전수하고, 신규설비 가동을 지원한다고 24일 밝혔다. 더불어 해외에서 확보한 마스크 33만개 기부 등을 대구지역에 기부했다.
삼성은 중소기업 스마트공장 구축 지원 경험을 활용해 국내 마스크 제조업체들이 생산량을 증대할 수 있도록 지원했다. 평균경력 25년의 삼성전자 제조설비 전문가 10명은 중소기업에 열흘 동안 파견나가서 공정 최적화를 도왔다. 이를 통해 중소기업의 마스크 생산량은 기존 대비 50% 이상 증가했다.
삼성은 중소벤처기업부와 중소기업중앙회를 통해 추천 받은 △E&W(경기도 안성시) △에버그린(경기도 안양시) △레스텍(대전광역시 유성구) 등 3개 마스크 제조기업들에 지난 3일부터 제조전문가를 파견해 지원을 시작했다.
삼성의 제조전문가들은 이 기업들이 새로 설비를 추가하지 않고도 기존에 보유한 생산 설비를 활용해 단기간에 생산량을 최대한 늘릴 수 있도록 현장 제조공정 개선과 기술 전수 등을 진행했다.
또 삼성은 신규 설비를 설치해 놓고도 마스크 생산이 가능한 상태로 장비 세팅을 하지 못한 일부 기업들의 장비 세팅과 공장 가동을 지원했다.
특히, 삼성은 일부 제조사가 마스크 생산에 필요한 금형 확보에 어려움을 겪자, 직접 금형을 제작해서 지원에 나섰다. 해외에 금형을 발주할 경우 최소 1개월 이상 소요되는 것을 광주에 위치한 삼성전자 정밀금형개발센터에서 7일만에 제작해서 제공했다. 삼성의 지원을 받은 3개 기업은 마스크 생산량이 기존 하루 71만개에서 108만개로 52% 증가했다.
앞서 삼성은 지난달 화진산업에 스마트공장 전문가들을 투입해 마스크 제조라인 △레이아웃 최적화 △병목공정 해소 등 설비 효율화를 지원했으며, 이를 통해 마스크 생산량이 하루 4만개에서 10만개로 크게 늘어난 바 있다.
삼성은 긴급하게 해외서 확보한 마스크 28만4000개를 전국재해구호협회를 통해 대구지역에 기부했다. 이 마스크는 삼성전자와 삼성물산, 삼성디스플레이, 삼성생명, 삼성화재, 삼성카드, 삼성증권 등 계열사의 해외 지사와 법인을 활용해 캐나다, 콜롬비아, 중국, 홍콩 등에서 확보했다.
삼성은 미국 등 다른 지역에서도 마스크 확보를 추진하고 있으며,추가 물량 확보가 가능해지는 대로 전국재해구호협회가 유통업체를 통해 이를 직접 수입할 수 있도록 연결할 계획이다.
삼성전자는 중국의 한 반도체 고객사가 직원들을 위해 사용해 달라고 보내 온 마스크 5만개도 방역 용품 부족 등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사회적 위기 극복에 헌신하고 있는 대구광역시의사회에 재기증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