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태호 중앙사고수습본부 방역총괄반장은 24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정례브리핑에서 인구의 60% 이상이 코로나19에 감염돼 집단면역을 형성하는 것에 대해 "상당히 이론적인 수치이기 때문에 이러한 수치에 근거해서 방역대책을 강구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윤태호 중앙사고수습본부 방역총괄반장 [사진=연합뉴스]
윤 방역총괄반장은 "단순하게 적용해보면 한국 인구는 약 5000만명이고, 이 중 약 70%가 감염되면 3500만명이 감염돼야 하는 상황"이라며 "3500만명 중에서 치명률을 1%로만 가정하더라도 35만명이 사망하는 희생을 치러야만 집단면역이 형성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러한 상황까지 나아가지 않고 방역을 최대한 가동하고 사회적 거리두기를 통해서 감염 전파를 최소화해 이러한 상황까지 나아가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방역당국의 책임이자 또한 목표"라며 "이론적인 수치이고, 모든 것을 다 포기한 상태에서 가야 하는 상황이기 때문에 일단은 (집단면역에) 근거한 방역 대책을 현재는 강구하고 있지 않다"고 말했다.
손영래 홍보관리반장은 "집단면역 이론은 다수 국민이 감염되고, 그로 인해 피해가 상당히 클 수 있기 때문에 방역당국의 입장은 최대한 감염을 늦추고 감염환자 규모를 줄이면서 백신이나 치료제가 개발될 때까지 이 상태를 계속 유지한다는 것"이라며 "방역당국은 집단면역 이론에 따른 어떤 추산을 가지고 움직이고 있지 않다"고 강조했다.
전날 신종감염병 중앙임상위원회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인구의 60%에게 면역이 생겨야 종식된다고 밝혔다.
오명돈 중앙임상위원장(서울대 의대 감염내과 교수)은 전날 기자회견에서 "코로나19 유행은 종식시킬 수 없다. 올가을 더 큰 유행이 찾아올 수 있다"며 "장기전에 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앞서 독일 메르켈 총리는 "전문가들은 이런 상황이 계속되면 인구의 60∼70%가 코로나바이러스에 의해 감염될 것이라고 한다"고 말한 바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