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0/04/02/20200402100456281465.jpg)
[사진=서울시 제공]
코로나19로 인한 현 상황의 위기를 극복하고, 언제 다시 닥쳐올지 모르는 감염병과 사회재난에 대한 대응방안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아울러 코로나19 종식 이후 달라지게 될 새로운 사회나 도시 모습에 대해서도 토론한다.
'서울시민회의'는 새로운 유형의 정책 공론장으로 단순한 시민참여 프로세스를 넘어 시민이 제안, 숙의, 결정 과정을 주도하는 서울형 민주주의를 구현하기 위한 새로운 차원의 거버넌스다.
회의에서는 그 해의 가장 화두가 된 이슈에 대해 온‧오프라인으로 숙의‧토론, 분야별 세부 정책으로 도출한다. 성별과 연령 제한 없는 시민패널 3000명과 분야별 전문가, 서울시 공무원이 참여한다.
세부 논의 사항은 ▲코로나 등 각종 감염병 및 사회재난을 극복하는 시민 역할 발굴 ▲우리사회 회복력 강화를 위한 사회적 면역력 증대 방안 마련 ▲시민 행동규범과 행정의 역할 정립 등이다.
참가자는 이달 30일까지 공개모집한다. 서울시 정책에 관심 있는 서울시민이라면 나이제한 없이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 시민패널은 개방성과 대표성 확보를 위해 성별, 연령, 거주지역(자치구)을 고려해 무작위 추첨, 5월 초 발표할 예정이다.
신청은 민주주의 서울 홈페이지에서 신청하거나, 서울시청 서울민주주의담당관을 방문해 신청할 수 있다.
시민패널로 선발‧위촉되면 ▲주제별 회의 ▲온라인 시민회의 ▲시민총회에 참여해 주요 정책을 공론‧결정한다. 다만, 코로나19 사태가 안정화될 때까지 온라인 회의로 개최된다. 운영 전 과정은 온라인을 통해 시민패널들에게 투명하게 공개된다.
서울시는 참여 효과와 정책 체감도를 높이기 위해 선발된 시민패널을 대상으로 5월 중 오리엔테이션을 개최한다. 이후 분야별 논의 주제에 따라 시정정보 및 학습자료를 제공하는 온라인 교육을 실시한다. 회의 운영 및 정책에 대한 시민패널의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정기적인 조사도 진행할 예정이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아직 코로나19 사태가 끝나지 않았지만 코로나 이후의 사회를 지금부터 준비해나가야 한다"며 "시민이 제안, 숙의, 결정 과정을 주도해 서울형 민주주의를 구현하는 '서울시민회의'를 통해 행정이 미처 찾아내지 못한 일상의 문제 해법을 시민 집단지성으로 찾아나가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