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D보다 5G] ③ 정부, 5G+ 도약 위한 전략산업 물밑 지원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노경조 기자
입력 2020-04-17 08:09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최기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사진=연합뉴스]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5G 성과를 초기에 창출하기 위해 정부도 물심양면으로 지원한다. 특히 원격·재택 근무, 비대면 진료 등이 일상이 될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맞아 '5G+'로의 도약을 계획하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올해 5G 산업 육성에 6500억원 규모의 예산을 투입하고, 규제 혁신을 통한 신규 사업 발굴 등에 주력한다는 방침이다. 이와 관련해 지난 8일 제3차 범부처 민·관 합동 '5G+ 전략위원회' 회의를 개최했다.

이날 회의에서 최기영 과기정통부 장관은 "5G를 세계 최초로 상용화한 지 벌써 1년이 지났지만, 국민이 변화를 체감하기에 아직 미흡한 점이 많다"며 "조기에 구체적 성과를 창출하고, 코로나19에 따른 경제 위기 상황을 5G+ 전략으로 극복할 수 있도록 범부처 민·관 협력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정부는 5G+ 전략산업의 분야별 올해 추진 목표와 계획을 제시했다. 세부적으로 △5G 네트워크 장비 시장 점유율 20% 이상 유지 △차세대 스마트폰 핵심 부품 개발, 28㎓ 단말기 테스트베드 구축 △웨어러블 디바이스 글로벌 시정점유율 15% 달성 △국내 5G 연관 정보보안 생산액 679억원 달성 △VR·AR 장치, 실감 콘텐츠 국내 점유율 20% 이상 달성 △5G 스마트공장 200개 건립 등이 있다.

미래형 드론이나 자율주행차, 스마트시티, 디지털 헬스케어 등의 분야는 테스트베드 구축 등 인프라 조성과 실증 등에 무게를 뒀다. 지능형 폐쇄회로(CC)TV와 커넥티드 로봇, 에지 컴퓨팅 등의 분야도 기술 개발을 통한 실증이 올해 주된 목표다. 이 중 스마트시티는 올해 3건의 서비스 실증을 완료하고, 에지 컴퓨팅은 서버·플랫폼 고도화 기술 개발과 상용화를 위한 2건의 산업 현장 실증을 추진한다.

정부는 5G+ 전략을 체계적으로 추진하고자 민·관 합동 점검반을 구성·운영하기로 했다. 점검반은 과기정통부 정보통신정책실장 주재로 운영되며, 책임 담당관과 각 부처 전문기관 담당자, 전문가, 민간 협단체 등으로 상반기 내 구성이 완료될 예정이다.

이와 함께 5G 단말·서비스 개발, 실증 및 보급·확산 등 내년 신규 사업을 범부처 차원에서 추진한다. 대표적으로 고혈압, 당뇨, 발열, 복통 등 주요 감염병 증상과 질환을 빠르게 진단·분석할 수 있는 '닥터앤서 2.0'과 완전자율주행 핵심 개발 사업 등을 기획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 사업들은 연내 기획재정부의 예산 심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

복수의 민간위원들은 "코로나19로 매출 감소, 부품 수급 애로 등 현장 어려움이 있지만, 향후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맞이해 공격적인 5G 인프라 확충과 다양한 비대면 서비스 발굴 등을 통한 새로운 성장 기회가 기대된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