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6일 21대 총선 비례대표 투표 결과 미래한국당 김예지 후보가 당선되면서 국회 본회의장에 안내견 출입 여부에 관심이 쏠린다. 김 당선인은 ‘시각장애인 피아니스트’로 눈이 불편한 김 당선인의 곁에는 보행을 돕는 안내견 ‘조이’가 늘 함께하기 때문이다.
조이는 이미 국회에 발을 들인 적이 있다.
김 당선인이 지난 1일 국회 본관 로텐더홀 앞 계단에서 열린 미래통합당과 미래한국당의 ‘나라살리기‧경제살리기’ 공동 선언식 등 국회 행사에 참여하면서 조이도 함께했다.
하지만 본격적인 국회의원 임기가 시작되는 5월 31일 이후에도 조이가 국회 본회의장과 상임위원회 회의장 출입 가능 여부는 미정이다. 국회는 관례적으로 안내견의 출입을 막아왔기 때문이다.
앞서 2004년 17대 총선 때 당선된 첫 시각장애인 국회의원 정화원 전 한나라당 의원의 경우 당시 안내견과 본회의장에 입장하려고 시도했지만, 국회 측이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이에 정 전 의원은 본회의 참석 시 보좌관이나 비서관의 팔을 붙잡고 자리로 이동했다.
국회는 앞으로 안내견 ‘조이’의 본회의장 출입 여부를 포함해 김 당선인의 의정활동 수행에 필요한 지원들을 두루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국회사무처 관계자는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동물의 회의장 출입과 관련한 명시적인 조항은 없으나, 국회법상 '본회의 또는 위원회의 회의장에 회의 진행에 방해되는 물건이나 음식물을 반입해서는 안 된다'는 규정이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안내견을 동반하고 의정활동을 하는 사례에 대해서 검토해볼 것"이라며 "해외 사례도 알아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단순히 안내견의 출입 문제가 아니라 본회의장에서 김 당선인이 발언과 토론, 표결 등 활동을 어떻게 할 수 있을지, 당선인 본인이 어떤 것을 필요로 하는지 직접 협의해볼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조이는 이미 국회에 발을 들인 적이 있다.
김 당선인이 지난 1일 국회 본관 로텐더홀 앞 계단에서 열린 미래통합당과 미래한국당의 ‘나라살리기‧경제살리기’ 공동 선언식 등 국회 행사에 참여하면서 조이도 함께했다.
하지만 본격적인 국회의원 임기가 시작되는 5월 31일 이후에도 조이가 국회 본회의장과 상임위원회 회의장 출입 가능 여부는 미정이다. 국회는 관례적으로 안내견의 출입을 막아왔기 때문이다.
국회는 앞으로 안내견 ‘조이’의 본회의장 출입 여부를 포함해 김 당선인의 의정활동 수행에 필요한 지원들을 두루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국회사무처 관계자는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동물의 회의장 출입과 관련한 명시적인 조항은 없으나, 국회법상 '본회의 또는 위원회의 회의장에 회의 진행에 방해되는 물건이나 음식물을 반입해서는 안 된다'는 규정이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안내견을 동반하고 의정활동을 하는 사례에 대해서 검토해볼 것"이라며 "해외 사례도 알아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단순히 안내견의 출입 문제가 아니라 본회의장에서 김 당선인이 발언과 토론, 표결 등 활동을 어떻게 할 수 있을지, 당선인 본인이 어떤 것을 필요로 하는지 직접 협의해볼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