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국내 기업들이 받은 수출대금에서 미국 달러화 비중이 낮아졌다. 달러 결제 비중이 높은 반도체 수출단가가 떨어지면서 전체 수출대금에서 달러가 차지하는 비중이 줄어든 탓이다.
한국은행이 17일 발표한 '2019년 중 결제통화별 수출입'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기업들이 받은 수출대금에서 달러화 비중이 83.5%로 전년보다 1%포인트 낮아졌다.
이는 달러로 결제되는 비중이 97.3%에 달하는 반도체 수출단가가 떨어진 영향이다. D램 반도체 현물가격(8GB 기준)은 2018년 평균 8.11달러에서 지난해 3.88달러로 반토막이 났다.
유로화 결제 비중은 2018년 5.6%에서 지난해 6.1%로 올랐다. 자동차 수출이 증가한 영향이다. 엔화 비중은 3.1%로 0.4%포인트 올랐다.
수입대금 결제 비중은 달러화가 80.6%로 1년 전보다 0.4%포인트 올랐다. 유로화와 엔화는 모두 0.5%포인트씩 떨어지며 각각 5.9%, 5.6%를 기록했다. 원화 비중은 0.3%포인트 오른 5.9%였다.
한국은행이 17일 발표한 '2019년 중 결제통화별 수출입'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기업들이 받은 수출대금에서 달러화 비중이 83.5%로 전년보다 1%포인트 낮아졌다.
이는 달러로 결제되는 비중이 97.3%에 달하는 반도체 수출단가가 떨어진 영향이다. D램 반도체 현물가격(8GB 기준)은 2018년 평균 8.11달러에서 지난해 3.88달러로 반토막이 났다.
유로화 결제 비중은 2018년 5.6%에서 지난해 6.1%로 올랐다. 자동차 수출이 증가한 영향이다. 엔화 비중은 3.1%로 0.4%포인트 올랐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