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文 대통령 "헌혈 운동, 4·19 때 시작…국민들 헌혈 동참 자랑스럽다"

  • 4·19혁명 60주년 기념식 참석 후 SNS에 4·19혁명 헌혈 운동 소개

  • "4·19 혁명 때 매혈의 역사가 현혈의 역사로…헌혈, 연대의 상징"

  • "코로나19 8000여명분 혈액 부족 여전"…국민들, 헌혈 참여 독려

문재인 대통령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극복 과정 속 국민들의 헌혈 동참에 감사 인사를 전하며 함께 헌혈이 시작된 4·19 혁명의 역사를 소개했다.

문 대통령은 19일 오후 공식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 ‘4·19혁명과 헌혈, 나눔의 역사’라는 제목의 글을 올리며 “코로나19를 극복하는 과정에서 우리 국민들의 헌혈 동참으로 많은 생명을 구했다. 참으로 자랑스럽고 감사한 일”이라고 전했다.

다만 그는 “코로나19의 장기화로 아직 혈액 보유량에서 8000여명분이 부족하다고 한다”며 적극적인 헌혈 참여를 독려했다.

문 대통령은 “헌혈은 서로의 생명을 지키는 고귀한 사랑의 실천이고 가장 적극적인 나눔”이라며 4·19혁명을 언급했다.

그는 “우리나라도 피를 사고팔던 시절이 있었다. 피를 팔아 생계를 이어가던 ‘매혈’의 역사를 헌혈의 역사로 바뀌게 된 계기가 바로 4·19혁명”이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1960년 4월 19일, 전국에서 학생들이 일어난 그 날 화요일을 역사는 ‘피의 화요일’이라 부른다”며 “무차별 발포로 이날만 100명이 넘는 사망자가 발생했고, 부상자 치료를 위한 혈액이 부족하자 시민들이 자발적으로 헌혈에 나서기 시작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시민들의 고귀한 행동을 경험한 대한적십자사는 1961년 ‘사랑의 헌혈운동’을 시작했고, 1974년 그동안 매혈로 충당했던 혈액 수급을 헌혈로 변경했다”며 “이렇듯 매혈의 역사가 4·19혁명을 통해 헌혈의 역사로 바뀌었다”고 부연했다.

문 대통령은 “헌혈이 우리 민주주의 역사와 함께 발전해왔다는 것이 뜻깊다”며 “60년 전 그날처럼, 5·18 민주화운동 때도 시민들의 헌혈은 수많은 이웃을 구하며 연대의 상징이 됐다”고 했다.

그러면서 “지금 코로나19를 극복하는 과정에서도 우리 국민들의 헌혈 동참으로 많은 생명을 구했다. 참으로 자랑스럽고 감사한 일”이라며 “헌혈은 오늘도 우리의 협력을 보여주는 상징이 되고 있다. 서로를 위하는 마음, 늘 감사드린다”고 덧붙였다.
 

문재인 대통령이 19일 오전 서울 강북구 국립 4.19 민주묘지에서 열린 제60주년 4.19혁명 기념식에 참석한 뒤 故 전한승 군 묘비 앞에서 고인을 추모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