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근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총선 이후 거대여당 출현에 따른 시장영향에 대해 “단기적 영향은 중립적”이라고 말했다.
실제 총선 다음날인 16일 코스피는 0.01포인트 하락했다. 외국인들의 매도물량이 유입된 탓이다. 반면 17일에는 외국인들이 31거래일만에 순매수로 돌아서며 지수를 1900선까지 끌어올렸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경제 정상화 발표 소식이 호재였다. 즉 총선에 대한 기대감 보다는 여전히 글로벌 시장에 동조화된 움직임을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김성근 연구원은 “코로나 여파를 제한하기 위해 경기 부양에 집중할 전망”이라며 “현재 시장은 코로나로 인한 피해 확인에 민감하게 반응 중이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증권사들은 1분기 전망치를 연초 매출 253조5798억원, 영업이익 15조6087억원로 제시했으나 3월 말 매출 247조9706억원, 영업이익 10조6057억원으로 수정했다. 불과 두 달 사이 영업이익 전망치가 5조원 이상 줄었다.
김용구 하나금융투자 연구원도 “중장기 증시 영향은 중립수준으로 제한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내부 국정 주도권보단 대외 경기환경 변화에 전적으로 의탁하는 한국 경제 및 증시의 특수성과 현 정부의 기존 경제정책과 민주당의 21대 총선 공약사항은 다르지 않다”며 “ 총선 및 집권여당 승리와 무관한 흐름을 보였던 과거 증시 경험에서도 제한적일 것”이라고 설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