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금은 단기 고용노동자들의 임금 지급 등을 위해 쓰일 예정이다.
독일 호텔 및 레스토랑 협회(DEHOGA)는 최근 현지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4월 말까지 업계 전체에서 100억 유로의 손실이 발생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 협회 가입 업체들이 고용하고 있는 종업원 수만도 22만 3000명에 달한다.
페터 알트마이어 경제부 장관 역시 "타격을 받은 부문 기업들 상당수가 시장에서 사라지는 것을 막기 위해서는 추가 지원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최근 독일 내에서 코로나19 확산세가 다고 둔화하고는 있지만, 정부와 전문가들은 경기 회복까지는 상당히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고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독일은 최근 들어 신규 확진자 수가 확연히 줄어들면서 병상 확보에도 여력이 생겼다. 이에 독일 정부는 제한 조치를 단계적으로 완화한다고 발표했다.
당장 20일부터 면적 80㎡ 이하의 상점은 문을 열 수 있도록 조치했으며, 다음 달 4일 이후부터 등교도 단계적으로 실시할 예정이다.
독일에 앞서 오스트리아, 덴마크, 노르웨이 등도 제한 조치 완화 방안을 내놓았다. 그러나 영국의 경우 봉쇄 조치 해제에 다소 소극적인 것으로 알려졌다. 영국 정부는 지난달 20일부터 모든 음식점과 카페, 주점의 문을 닫도록 조치했다.
프랑스도 코로나19 확산세가 다소 둔화했지만, 이동제한령을 다음 달 11일까지로 연장하기로 했다.
.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가 15일(현지시간) 베를린의 총리 관저에서 기자회견을 하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해 실시하고 있는 접촉 제한 조치를 다소 완화하겠다는 방침을 밝히고 있다. [사진=EPA·연합뉴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