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은 20일 “정부는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를 교훈 삼아 재난이 닥칠 때 장애인이 비장애인에 비해 불평등하게 더 큰 피해를 보는 일이 없도록 시스템을 정비해 나가겠다”고 약속했다.
문 대통령은 제40회 장애인의 날인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에 글을 통해 “재난의 크기는 모든 이에게 평등하지 않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문 대통령은 “재난은 장애인이나 취약한 분들에게 훨씬 가혹하다”면서 “코로나19를 겪으며 그 사실을 다시 한 번 절감했다”고 전했다.
문 대통령은 “코로나19를 겪으며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 잘 사는 길에 대해 더 많이 고민하게 됐다”면서 “재난 상황에서 장애인에게 정보를 어떻게 전달할지, 마스크 등 방역물품은 어떻게 공급할지, 사회적 거리두기를 하며 장애인과 장애인 가족의 돌봄 공백을 어떻게 해결할지, 온라인수업은 어떻게 할지 등을 고민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조금 더 세심해져야만 그나마 재난 앞에서 조금은 더 평등해질 수 있다”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장애인과 장애인 가족들의 특성에 맞는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더욱 노력하겠다”면서 “장애등급제 폐지에 따른 정책적 노력도 더욱 확대할 것”이라고 했다.
문 대통령은 “우리는 모두 서로에게 소중한 사람”이라며 “장애인이 걷기 편한 길은 비장애인도 편하게 걸을 수 있다. 장애인의 날을 맞아 ‘모든 인간은 태어날 때부터 자유롭고, 존엄성과 권리에 있어서 평등하다’는 정신을 되새긴다”고 말했다.
아울러 “우리 몸의 중심은 머리도, 심장도 아니고 ‘아픈 곳'이라는 말이 있다”면서 “우리 공동체의 중심도 '아픈 곳'이다. 아픈 곳이 나으면 사회 전체가 낫게 된다”고 했다.
문 대통령은 “코로나19는 분명 위기지만, 장애인의 권리를 보장하는 것이 우리 모두 함께 행복할 수 있는 길이라는 것을 체감하는 기회가 됐다”면서 “당장 일상의 불편과 어려움을 견디고 이겨내 주신 많은 분께 감사의 인사를 드린다. 우리 모두가 서로에게 소중한 사람이라는 점이 참으로 고맙다”고 전했다.
문 대통령은 제40회 장애인의 날인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에 글을 통해 “재난의 크기는 모든 이에게 평등하지 않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문 대통령은 “재난은 장애인이나 취약한 분들에게 훨씬 가혹하다”면서 “코로나19를 겪으며 그 사실을 다시 한 번 절감했다”고 전했다.
문 대통령은 “코로나19를 겪으며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 잘 사는 길에 대해 더 많이 고민하게 됐다”면서 “재난 상황에서 장애인에게 정보를 어떻게 전달할지, 마스크 등 방역물품은 어떻게 공급할지, 사회적 거리두기를 하며 장애인과 장애인 가족의 돌봄 공백을 어떻게 해결할지, 온라인수업은 어떻게 할지 등을 고민했다”고 설명했다.
문 대통령은 “장애인과 장애인 가족들의 특성에 맞는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더욱 노력하겠다”면서 “장애등급제 폐지에 따른 정책적 노력도 더욱 확대할 것”이라고 했다.
문 대통령은 “우리는 모두 서로에게 소중한 사람”이라며 “장애인이 걷기 편한 길은 비장애인도 편하게 걸을 수 있다. 장애인의 날을 맞아 ‘모든 인간은 태어날 때부터 자유롭고, 존엄성과 권리에 있어서 평등하다’는 정신을 되새긴다”고 말했다.
아울러 “우리 몸의 중심은 머리도, 심장도 아니고 ‘아픈 곳'이라는 말이 있다”면서 “우리 공동체의 중심도 '아픈 곳'이다. 아픈 곳이 나으면 사회 전체가 낫게 된다”고 했다.
문 대통령은 “코로나19는 분명 위기지만, 장애인의 권리를 보장하는 것이 우리 모두 함께 행복할 수 있는 길이라는 것을 체감하는 기회가 됐다”면서 “당장 일상의 불편과 어려움을 견디고 이겨내 주신 많은 분께 감사의 인사를 드린다. 우리 모두가 서로에게 소중한 사람이라는 점이 참으로 고맙다”고 전했다.

문재인 대통령이 19일 오전 서울 강북구 국립 4.19 민주묘지에서 열린 제60주년 4.19혁명 기념식에 참석한 뒤 故 진영숙 열사 묘역으로 향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