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외경제정책연구원은 '중동 주요국의 여성 겅제활동 확대정책과 한국의 협력방안' 정책연구를 통해 교육과 직업훈련, 노동, 행정 등의 분야에서 협력을 모색할 수 있을 것으로 분석했다.
사우디아라비아의 경우 여전이 여성과 남성이 분리돼 교육을 받으며 대학교에서도 성별에 따라 선택할 수 있는 전공이 제한돼 있다.
한국은 1980~90년대에 성 고정적인 교육과정을 개편하고 여학생의 진로 다양화 정책을 추진한 경험이 있다. 이를 사우디와 공유하고 교육프로그램 도입, 시설 설립 등의 협력이 가능하다.

사우디는 여성의 노동 참여 확대를 위한 프로그램을 도입하고 있지만 아직은 훈련시설이나 세분화된 시스템이 부족한 것으로 파악된다. 한국에는 한국여성교육개발원, 한국양성평등교육진흥원과 같은 전문기관이 존재하므로 사우디의 수요에 맞춰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노동 분야에서도 여성 취업지원 플랫폼을 수출하는 것을 고려해볼 수 있다. 구직자가 취업을 하는 과정에서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도록 지원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은 경제활동 참여 촉진을 위해 중요하게 고려할 부분 중 하나다.
사우디를 비롯한 중동 국가들도 취업지원서비스를 운영하고 있으나, 여성을 위한 지원은 없거나 부족한 실정이다. 경력이 단절된 기혼 여성을 위한 시스템은 사실상 전무하다.
보고서는 "현재 한국 정부가 운영하는 여성새로일하기센터 등 취업지원시스템 운영 경험과 성과를 바탕으로 중동국가의 문화와 수요에 적합한 시스템 개발이 충분히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가 늘어나면서 일과 가정의 양립을 지원하는 정책이 필요해질 전망이다. 한국은 1990년대부터 관련 법제를 개편하고 중장기 계획을 수립해 시행해와, 상호 협력이 가능한 분야다.
더불어 전공 다각화로 여성들의 진출 분야가 다양해지면 중동 지역 내 노동인력 공급과 수요도 새롭게 예측해야 한다. 그러나 중동지역 대부분의 국가는 이를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는 시스템과 경험이 부족하다. 한국 정부는 2007년부터 한국고용정보원을 통해 노동인력 수급을 예측해오고 있다. 중동지역 여성 관련 정책 집행기관이나 연구원과의 공동 연구도 진행할 수 있다.
보고서는 "중동 국가들이 여성 관련 정책을 본격적으로 추진하면서 향후 이 분야에 대한 국제사회와의 협력이 강조될 것으로 예상한다"며 "공동연구를 추진하면 양국의 상황을 점검하고 사업을 추진하기에 앞서 구체적인 협력 방안을 타진해볼 수 있을 것"이라고 제언했다.
이어 "연구주제로는 한국의 관련 정책과 경험을 공유하는 것과 여성 여성 노동 촉진을 위한 프로그램을 공동개발하는 것 등도 생각해볼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미지 확대
![[사진=게티이미지뱅크]](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0/04/22/20200422203949420273.jpg)
[사진=게티이미지뱅크]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