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신용평가사 피치가 코로나19의 전 세계 확산 여파를 이유로 우리나라를 비롯한 세계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하향 조정했다. 코로나19 여파로 우리나라 전망치는 총 2%p(포인트) 낮아지며 역성장의 골이 더욱 깊어졌다.
피치는 23일 발표한 '세계 경제 전망' 보고서에서 올해 우리나라의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를 이전보다 1%p 낮아진 -1.2%로 하향 조정했다. 세계 성장률 전망치는 -3.9%다.
피치는 지난 2일 코로나19 여파를 고려해 세계 경제가 역성장할 것으로 전망을 하향 조정한 데 이어 20일 만에 역성장 폭을 늘렸다.
피치는 지난 3월 올해 GDP 성장률을 전 세계 1.3%, 우리나라의 경우 0.8%로 전망했다. 하지만 코로나19 확산세와 경제적 충격이 가시화하면서 지난 2일 당시에는 세계 -1.9%, 우리나라는 -0.2%로 하향했다. 따라서 코로나19 여파로 우리나라는 총 2%p, 전 세계로는 5.7%p나 낮아진 것이다.
우리나라의 분기별 GDP 성장률(전 분기 대비)은 1분기 -0.2%, 2분기 -4.3%, 3분기 0.8%, 4분기 2.0%로 전망했다.
앞서 2일에는 1분기와 2분기에는 각각 전 분기 대비 -0.3%와 -3.0%, 3분기와 4분기에 1.4%씩 성장할 것으로 전망해 상반기 경기 침체에 빠질 것으로 봤다. 일반적으로 2개 분기 연속 GDP가 감소하면 기술적 경기 침체로 해석한다.
피치는 이날 세계 GDP 성장률 전망치(-3.9%)를 이달 초(-1.9%)보다 2배 가까이 늘려잡으며, 코로나19가 세계 경제에 남길 상처가 더욱 심각하다고 봤다.
나라·지역별로는 이탈리아(-8%)를 포함한 유로존이 -7.0%로 역성장 폭이 가장 컸고, 미국(-5.6%)과 영국(-6.3%)의 하락 폭도 컸다.
피치는 신흥시장이 적어도 1980년대 이후 처음으로 역성장할 것이라면서 "원자재 가격 하락, 제한적인 정책 유연성 등이 충격을 악화시킬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날 보고서는 "코로나19 여파에 따른 각국의 봉쇄 조치 연장과 신규 데이터를 반영했다"며 "성장률 하락에 따른 소득 감소분은 2조8000억 달러(약 3443조원)에 달한다"고 덧붙였다.
브라이언 쿨턴 피치 이코노미스트는 "이번 코로나19 위기가 진정된 뒤에도 세계 경제가 정상적인 상황을 회복해가는 속도는 더딜 것"이라고 전망했다.
피치는 23일 발표한 '세계 경제 전망' 보고서에서 올해 우리나라의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를 이전보다 1%p 낮아진 -1.2%로 하향 조정했다. 세계 성장률 전망치는 -3.9%다.
피치는 지난 2일 코로나19 여파를 고려해 세계 경제가 역성장할 것으로 전망을 하향 조정한 데 이어 20일 만에 역성장 폭을 늘렸다.
피치는 지난 3월 올해 GDP 성장률을 전 세계 1.3%, 우리나라의 경우 0.8%로 전망했다. 하지만 코로나19 확산세와 경제적 충격이 가시화하면서 지난 2일 당시에는 세계 -1.9%, 우리나라는 -0.2%로 하향했다. 따라서 코로나19 여파로 우리나라는 총 2%p, 전 세계로는 5.7%p나 낮아진 것이다.
앞서 2일에는 1분기와 2분기에는 각각 전 분기 대비 -0.3%와 -3.0%, 3분기와 4분기에 1.4%씩 성장할 것으로 전망해 상반기 경기 침체에 빠질 것으로 봤다. 일반적으로 2개 분기 연속 GDP가 감소하면 기술적 경기 침체로 해석한다.
피치는 이날 세계 GDP 성장률 전망치(-3.9%)를 이달 초(-1.9%)보다 2배 가까이 늘려잡으며, 코로나19가 세계 경제에 남길 상처가 더욱 심각하다고 봤다.
나라·지역별로는 이탈리아(-8%)를 포함한 유로존이 -7.0%로 역성장 폭이 가장 컸고, 미국(-5.6%)과 영국(-6.3%)의 하락 폭도 컸다.
피치는 신흥시장이 적어도 1980년대 이후 처음으로 역성장할 것이라면서 "원자재 가격 하락, 제한적인 정책 유연성 등이 충격을 악화시킬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날 보고서는 "코로나19 여파에 따른 각국의 봉쇄 조치 연장과 신규 데이터를 반영했다"며 "성장률 하락에 따른 소득 감소분은 2조8000억 달러(약 3443조원)에 달한다"고 덧붙였다.
브라이언 쿨턴 피치 이코노미스트는 "이번 코로나19 위기가 진정된 뒤에도 세계 경제가 정상적인 상황을 회복해가는 속도는 더딜 것"이라고 전망했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0/04/23/20200423153231611442.png)
[자료=피치]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