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통합당은 23일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안 중 22개 항목에 대해 공개 질의했다. 답변 시한은 내일 오전 10시까지로 못 박았다.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장인 김재원 통합당 정책위의장은 이날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기획재정부가 오늘 오후 여당과 협의한 내용을 보고하기로 했으나 자료 작성에 시간이 걸린다는 이유로 보고를 할 수 없다는 통보를 받았다”면서 “내일이라도 예산안에 대한 보고를 받을까 의사타진을 하고 있지만, 어떻게 될지 알 수 없어 공개질의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제 소신과 다르다고 해서 드러누워서 예산 처리를 막을 생각은 전혀 없다”면서 “자꾸 발목 잡는다고 하는데 저는 그럴 생각이 전혀 없다”고 강조했다.
김 위의장이 이날 밝힌 22개 공개질의 항목에는 △추경안 예산 총액 규모 △예산 확대 시 국채발행 여부 △국채발행 시 총액 △재난지원금 일회성 여부 △세액공제 방법 △세법 개정 사항 등이 담겼다.
김 위의장은 “예산 심사를 위한 기초 자료를 요구하는데, 이것을 제출하지 않고 심사하라는 것은 도저히 할 수 없는 일”이라며 “어떤 예산 심사에서도 아무 기초자료 없이 심사하라고 한 예는 없었다”며 약식 형태의 수정안 수용 가능성도 내비쳤다.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장인 김재원 통합당 정책위의장은 이날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기획재정부가 오늘 오후 여당과 협의한 내용을 보고하기로 했으나 자료 작성에 시간이 걸린다는 이유로 보고를 할 수 없다는 통보를 받았다”면서 “내일이라도 예산안에 대한 보고를 받을까 의사타진을 하고 있지만, 어떻게 될지 알 수 없어 공개질의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제 소신과 다르다고 해서 드러누워서 예산 처리를 막을 생각은 전혀 없다”면서 “자꾸 발목 잡는다고 하는데 저는 그럴 생각이 전혀 없다”고 강조했다.
김 위의장이 이날 밝힌 22개 공개질의 항목에는 △추경안 예산 총액 규모 △예산 확대 시 국채발행 여부 △국채발행 시 총액 △재난지원금 일회성 여부 △세액공제 방법 △세법 개정 사항 등이 담겼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