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외硏, 코로나 펜더믹 신흥국 경제타격…"한국 전이 위험에 대비해야"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박성준 기자
입력 2020-04-24 09:47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중국 통화스와프 만기연장 미리 추진…보건·경제협력 확대 필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세계적 대유행의 여파로 신흥국의 경제·보건 상황이 위험신호가 켜지자 한국이 미리 대비할 필요가 있다는 제언이 나왔다.

24일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코로나19 확산과 신흥국의 취약성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경제·보건 분야가 동시에 취약한 고위험 신흥국으로 인도, 인도네시아, 콜롬비아, 브라질, 이집트, 남아프리카공화국, 파키스탄을 꼽았다. 연구원은 이들 국가를 고위험 국가라고 평했다.

결과는 25개 주요 신흥국의 재정 건전성, 외환부문 건전성, 보건의료 접근성 지수, 인구 1000명당 병상 수, 고령층 인구 비중을 기준으로 산출했다.

한국을 비롯해 중국, 체코, 폴란드, 러시아, 카타르, 사우디아라비아는 경제 펀더멘털과 보건분야에서 상대적으로 양호한 상태의 신흥국으로 꼽혔다.

저유가 현상의 이어짐에도 우려를 나타냈다. 연구원은 이 같은 현상이 지속된다면 러시아, 카타르, 사우디아라비아 등 원유 의존도가 높은 나라는 경제 펀더멘털이 나빠질 수 있다고 봤다.

연구원은 한국의 경우 대외개방도가 높아 코로나19로 인한 신흥국 위기가 국내에 영향을 끼치지 않도록 모니터링을 강화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아울러 선제적인 리스크 관리도 주문했다.

이미 신흥국 90여곳이 IMF에 지원을 요청했고, 국제금융협회(IIF)에 따르면 지난달 중국을 제외한 신흥국 58곳에서 빠져나간 자금 유출 규모가 833억 달러(약 102조7000억원)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흥국 금융위기 발생과 한국 전이 위험에 대비해 정부가 영국, 유로존(유로화 사용 19개국) 등 기축통화국과 양자 통화스와프를 확대하고, 올해 10월 만기인 중국과의 통화스와프 만기 연장을 미리 추진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다.

또 보건 분야가 취약한 신흥국에는 진단키트와 방역복, 마스크 등을 지원하고 경제 펀더멘털이 취약한 신흥국에는 채무 상환 한시 유예나 긴급자원 지원 등을 통해 협력을 확대해야 한다고 연구원은 조언했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