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일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코로나19 확산과 신흥국의 취약성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경제·보건 분야가 동시에 취약한 고위험 신흥국으로 인도, 인도네시아, 콜롬비아, 브라질, 이집트, 남아프리카공화국, 파키스탄을 꼽았다. 연구원은 이들 국가를 고위험 국가라고 평했다.
결과는 25개 주요 신흥국의 재정 건전성, 외환부문 건전성, 보건의료 접근성 지수, 인구 1000명당 병상 수, 고령층 인구 비중을 기준으로 산출했다.
한국을 비롯해 중국, 체코, 폴란드, 러시아, 카타르, 사우디아라비아는 경제 펀더멘털과 보건분야에서 상대적으로 양호한 상태의 신흥국으로 꼽혔다.
연구원은 한국의 경우 대외개방도가 높아 코로나19로 인한 신흥국 위기가 국내에 영향을 끼치지 않도록 모니터링을 강화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아울러 선제적인 리스크 관리도 주문했다.
이미 신흥국 90여곳이 IMF에 지원을 요청했고, 국제금융협회(IIF)에 따르면 지난달 중국을 제외한 신흥국 58곳에서 빠져나간 자금 유출 규모가 833억 달러(약 102조7000억원)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흥국 금융위기 발생과 한국 전이 위험에 대비해 정부가 영국, 유로존(유로화 사용 19개국) 등 기축통화국과 양자 통화스와프를 확대하고, 올해 10월 만기인 중국과의 통화스와프 만기 연장을 미리 추진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다.
또 보건 분야가 취약한 신흥국에는 진단키트와 방역복, 마스크 등을 지원하고 경제 펀더멘털이 취약한 신흥국에는 채무 상환 한시 유예나 긴급자원 지원 등을 통해 협력을 확대해야 한다고 연구원은 조언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