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시가 코로나19 위기국면에서 ‘해고 없는 도시’를 선언하면서 신선한 충격을 주고 있다. 노·사·민·정의 상생선언을 통해 ‘시민 일자리 지키기’를 도모함으로써 고용불안을 최소화하겠다는 의지이다. 이보다 한 달 앞서 전주시는 전국 최초로 재난기본소득을 도입함으로써 총선 국면을 거치면서 전국 단위의 재난기본소득을 민주당이 도입하는 데 발화점 역할을 한 바 있다. 또한 2월에는 한옥마을 건물주들이 임대료 10% 이상 인하할 것을 결의함으로써 대통령을 포함한 전국적인 관심을 끌면서 정부의 ‘착한 임대인을 위한 감세’를 이끌어낸 바 있다. ‘착한 임대인운동’과 ‘전주형 재난기본소득’에 적극적인 지지를 표했던 문재인 대통령도 ‘해고 없는 도시’ 선언에 SNS를 통해 ‘존경과 감사’를 표시했다.
전주시가 코로나19 대응책에서 중앙정부를 선도하고 있는 측면은 단지 시점에서만이 아니다. ‘인간 중심’ 대응책의 구성에서도 중앙정부의 프로그램을 앞서가고 있는 것이다. 중앙정부가 기업에 대한 지원으로 고용 유지를 달성함으로써 노동자를 간접적으로 지원하는 것을 우선하는 데 비해 전주시는 처음부터 고용보험 대상에 포함되지 않은 ‘일용직 근로자, 실직자, 생계형 아르바이트 등 취약계층 5만여명’을 대상으로 재난기본소득을 도입했다. 또한 상생선언을 통해 고용보험에 가입하지 않은 기업(전체 기업의 약 11%)에 6개월간 보험료를 지원해 보험 가입을 유도함과 아울러 고용보험 가입 기업에는 휴업이나 유급휴직 노동자에게 지원되는 고용유지지원금의 기업체 부담금(10%) 절반을 지원키로 했다. 일자리를 지키기 위해 ‘지역구성원 모두’가 참여한다는 점도 특징적이다. 아쉬운 점이 있다면 많지 않은 전주 소재 대기업이 동참하고 있지 않다는 사실이다.
최상의 코로나19 대응책이 일자리를 지키는 것이라는 데는 정부 차원에서도 이미 공감대가 형성되어 있다. 그래서 취임하면서 ‘일자리 대통령’을 자임했던 대통령 스스로 4월 22일 제5차 비상경제회의에서 일자리대책은 ‘정리해고를 통한 기업 살리기가 아니라 일자리 지키기’임을 천명했다. 그래서 기업 지원의 조건으로 ‘고용총량 유지’가 포함되어 있다. 전체적으로는 자구노력, 이익공유, 임직원 보수 제한과 주주배당 제한, 자사주 취득금지 등을 통해 작금의 경제위기 국면에서의 일자리 대책을 ‘고통분담’으로 설계하겠다는 의지가 표명되어 있다. 앞으로 기재부장관이 본부장이 되는 비상경제중앙대책본부에서 이들 조치가 대통령의 선언에 충실하게 실행에 옮겨지는지 지켜볼 일이다.
관련기사
문재인 대통령은 5차 비상경제회의에서 ‘한국형 뉴딜’이 5월 중에 마련될 것임을 예고했다. 홍남기 부총리는 이를 ‘디지털뉴딜’, ‘SOC뉴딜’ ‘사회적 뉴딜’로 구체화하고 있다. 이 ‘사회적 뉴딜’에 고용안정형 구조조정이 포괄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면 한국은 ‘해고 없는 나라’로 한 걸음 크게 나아갈 수 있을 것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