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정은경, 美 CDC에 논문…밀폐공간서 집단감염 사례 전세계 공유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김태림 기자
입력 2020-04-27 09:14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서울 구로 콜센터 집단감염 연구

코로나19 브리핑하는 정은경 중앙방역대책본부장(질병관리본부장).[사진=연합뉴스]



한국 방역당국이 서울 구로 콜센터의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 집단감염 사례를 예로 들어 밀집한 사무실에서의 전염 확산을 경고하고 전 세계에 적극적인 감시와 역학 조사를 권고하는 논문을 발표했다.

27일 미국 질병통제센터(CDC)가 발행하는 의학학술지 ‘신종 감염병(Emerging Infectious Diseases)’ 최신호(온라인판)에 따르면, 정은경 질병관리본부 본부장팀(제1저자 박신영)은 지난달 서울 구로의 한 빌딩에서 발생한 ‘콜센터 집단감염’ 관련 방역 내용을 담은 논문을 전 세계 전문가들에게 공개했다.

이 논문은 국내 코로나19 방역의 총책임자인 정은경 질병관리본부장이 책임저자(교신저자)로 이름을 올렸다. 정 본부장이 코로나19 관련 논문을 낸 건 이번이 처음이다.

연구팀에 따르면 한국 방역당국은 지난 3월 8일 서울시가 해당 빌딩 근무자 감염 사실을 인지하자 서울시, 인천시, 경기도 등이 역학조사에 나섰다. 구로 콜센터 건물에 일하거나 주거한 1143명 가운데 94명이 확진 판정을 받았다. 11층으로 국한하면 216명 중 43.5%가 감염된 것이다.

이를 토대로 연구팀은 사람들로 혼잡한 사무실 환경이 코로나19 전염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연구팀은 1000명 넘는 조사대상을 파악해 진단검사를 실시했고 건물에 5분 이상 머문 이들에게 1만6628통의 문자를 보냈다. 연구팀은 고강도 자가격리 조치 등으로 감염을 차단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진단하면서, 팬데믹(대유행) 상황에서 각국의 공중보건당국은 적극적인 감시와 역학조사를 실시할 것을 권장했다.

정은경 본부장은 전날 정례브리핑에 “이번 논문의 저자는 질병관리본부만이 아니라 질병관리본부와 시도, 시군구 보건소의 역학조사를 관여했던 모든 이들”이라며 “중앙과 지방의 협력으로 신속하게 전파를 최소화할 수 있었다는 방역의 결과물”이라고 전했다.

이어 “구로 콜센터 한 층에서 노출된 경우에 양성률이 43.5%로 굉장히 높다”며 “이는 굉장히 밀집하고 밀폐된 공간에 노출될 경우 누구나 감염이 될 수 있다는 것을 말씀드리고자 했다”며 이번 논문 작성 배경을 설명했다.

연구팀은 무증상 상태로 확진된 환자들에 대해서도 주목했다. 무증상 환자는 격리 기간 14일 내내 무증상이었다가 양성이 확인된 사례다.

정 본부장은 “또 한 가지 유심히 조사를 진행하고 있는 것은 무증상 시기에 노출된 사람들이 실제 확진이 얼마나 되는지를 보는 무증상 시기의 전염력에 대한 부분”이라며 “콜센터의 경우 확진자가 증상이 없는 시기에 노출된 접촉자들이 17명 정도 있었는데, 이들은 모두 모니터가 끝날 때까지 양성으로 확인되지 않아 무증상기 감염 사례가 콜센터에선 보고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다른 연구에서는 무증상이나 증상이 발생하기 하루나 이틀 전 정도의 감염력이 있는 사례들이 보고되고 있다”며 “이런 부분에 대해서도 지속적으로 연구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