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세균 국무총리는 27일 "늦어도 5월 초에는 등교 개학 시기와 방법을 확정해달라"고 주문했다.
정 총리는 이날 오전 정부서울청사 열린 코로나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를 주재하고 "생활속 거리두기 이행과 맞물려 아이들의 등교 개학을 검토하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아이들의 안전은 그 무엇과도 타협할 수 없지만, 그렇다고 기약 없이 코로나19의 종식을 기다리면서 학생들을 계속 집에만 묶어둘 수는 없는 노릇"이라며 "현재 수준의 관리가 유지되고 다른 분야가 일상으로 복귀한다면 학생들의 등교도 조심스럽게 추진할 수 있겠지만 정말 쉽지 않은 문제"라고 판단했다.
정 총리는 "온라인 개학을 결정할 때와 마찬가지로 교육계와 지역사회, 학부모들이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가 중요하다"면서 "생활 속 거리두기로의 이행을 결정할 시기가 다가오고 있기 때문에 시간이 많지는 않다"고 우려했다.
등교한다고 가정했을 때 학교의 준비 기간도 고려해야 할 문제다. 선생님들이 마스크를 착용하고 수업을 진행할 것인지, 물리적 거리는 어떻게 유지하고 급식 위생은 어떻게 확보할 것인지 조율해야 할 세세한 사안들이 많다.
그는 "적어도 일주일의 준비 기간은 필요하다는 것이 현장의 의견"이라며 "이런 상황을 고려해서 교육부는 늦어도 5월 초에는 등교 개학 시기와 방법을 국민 여러분께 알려드릴 수 있도록 제반 절차를 진행해 주시기 바란다"고 주문했다.
정 총리는 이어 "특히, 입시를 앞둔 고3·중3 학생들을 우선적으로 고려해 이들부터 차례대로 등교시키는 방안에 대해 집중적으로 의견을 수렴해 달라"고 요청했다.
정 총리는 이날 오전 정부서울청사 열린 코로나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를 주재하고 "생활속 거리두기 이행과 맞물려 아이들의 등교 개학을 검토하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아이들의 안전은 그 무엇과도 타협할 수 없지만, 그렇다고 기약 없이 코로나19의 종식을 기다리면서 학생들을 계속 집에만 묶어둘 수는 없는 노릇"이라며 "현재 수준의 관리가 유지되고 다른 분야가 일상으로 복귀한다면 학생들의 등교도 조심스럽게 추진할 수 있겠지만 정말 쉽지 않은 문제"라고 판단했다.
정 총리는 "온라인 개학을 결정할 때와 마찬가지로 교육계와 지역사회, 학부모들이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가 중요하다"면서 "생활 속 거리두기로의 이행을 결정할 시기가 다가오고 있기 때문에 시간이 많지는 않다"고 우려했다.
그는 "적어도 일주일의 준비 기간은 필요하다는 것이 현장의 의견"이라며 "이런 상황을 고려해서 교육부는 늦어도 5월 초에는 등교 개학 시기와 방법을 국민 여러분께 알려드릴 수 있도록 제반 절차를 진행해 주시기 바란다"고 주문했다.
정 총리는 이어 "특히, 입시를 앞둔 고3·중3 학생들을 우선적으로 고려해 이들부터 차례대로 등교시키는 방안에 대해 집중적으로 의견을 수렴해 달라"고 요청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