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가 집에서도 '콜센터' 업무를 가능하게 하는 솔루션 '5G 재택 콜센터'를 개발해 시범 적용한다고 27일 밝혔다.
5G 재택 콜센터는 5G 또는 LTE 스마트폰이 있으면 앱으로 전국 어디서나 콜센터와 동일한 네트워크 환경을 제공해주는 솔루션이다. 5G 재택 콜센터 앱을 실행한 뒤 테더링 기능으로 스마트폰과 노트북을 연결하면 상담 업무를 위한 준비가 완료된다.
솔루션의 가장 큰 특징은 민감한 정보를 상담사가 안전하게 전산 시스템으로 전송할 수 있다는 점이다. 기업용 모바일 게이트웨이(EMG) 기술이 솔루션에 적용돼 고객들이 이용하는 일반 네트워크와 완전히 분리된 '콜 센터 전용 네트워크'가 상담사에게 제공된다.
지금은 콜센터 상담사가 재택근무를 하려면 사내에서 쓰던 업무용 PC와 '상담용 IP 전화'를 집으로 가지고 가야 한다. 이 PC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유선 보안 장비를 구축하고, VPN(Virtual Private Networks) 프로그램을 설치한 뒤 PC 환경을 담당 업무에 맞게 설정하는 등 복잡한 과정을 거친다.
솔루션 시범 적용은 오는 28일부터 KT 기업고객 컨설팅센터에서 근무하는 10명의 상담사를 대상으로 한다.
김봉기 KT 플랫폼연구소장 상무는 "KT의 5G 플랫폼 기술을 콜센터 분야에 적용해 상담사들도 업무의 이동성과 보안이 강화된 재택근무가 가능해졌다"며 "5G 기반의 재택 콜센터·모바일 오피스·스마트 팩토리를 시작으로 다양한 기업 상품에 5G가 융합된 유무선 통합 기업 플랫폼 기술을 지속해서 개발하고 시장을 선도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