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업계가 코로나 사태로 속을 태우고 있다. 전세계 선박 발주량이 급감한 데다 사태가 장기화 될 경우 선주 감독관과 해외 엔지니어의 국내 입국이 어려워 납기 지연으로 이어질 가능성도 있기 때문이다.
업계는 글로벌 서플라이체인 변화가 예상됨에 따라 정부에 단기적으로는 주요 기자재의 국산화 프로젝트 등 서플라이체인의 제도적인 개선과 장기적으로는 인재육성 방안을 마련해 달라고 요구했다.
조선업계 대표들과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함께한 27일 간담회에선 코로나19 사태에 따른 조선업계의 어려움을 전달하고 지원을 요청하는 목소리가 이어졌다.
이번 간담회는 코로나19가 전 세계로 확산함에 따라 글로벌 선박 발주가 급감하는 등 조선업계에 대한 영향이 가시화되고 있어 업계의 건의사항과 애로사항을 수렴하기 위해 마련됐다.
조선업계의 조업은 정상적이지만 수주절벽 상황은 현실화 되고 있다. 실제 1분기 글로벌 선박 발주는 코로나19의 여파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70% 급감한 239만CGT에 그쳤다. 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하면 그나마 버텨온 조선업계도 수요, 생산, 유동성 등의 측면에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컨테이너선 물동량 감소나 주요 액화천연가스(LNG) 프로젝트 투자의사결정(FID) 지연으로 주력 선종인 LNG선·컨테이너선의 신조 발주가 감소할 수 있고, 선주 감독관과 해외 엔지니어의 국내 입국이 어려워 납기 지연으로 이어질 가능성도 있다.
조선업계는 제작금융 등 유동성 지원과 선수금환급보증(RG) 발급규모 유지 및 적기발급, 외국 기술전문인력 입국절차 간소화 등을 요청했다.
이성근 대우조선해양은 “앞으로 국내 산업계의 재편이 필요하다. 조선업계와 중형조선소, 기자재 업계의 경쟁력이 커져야 혼란스러운 서플라이체인이 안정화 될 수 있다”라며 “기자재 업계의 안정화와 경쟁력이 조선업계의 최종 경쟁력으로 직결되기 때문에 이 자리를 통해 성과를 낼 수 있도록 의지를 다지겠다”라고 밝혔다.
가삼현 한국조선해양 사장은 “석유 수입에 의존하는 국가가 재정적으로 어렵다 보니 발주에 일부 영향을 줄 수 있지만, 유가가 저렴하면 유류 물동량이 는다”며 “지금은 유가가 아닌 코로나19에 따른 일반 경제의 수요 자체가 문제”라고 진단했다.
이에 성 장관은 “지난달 위기관리대책회의를 통해 8조원의 조선산업 제작금융지원과 특별고용업종 지정 연장을 검토키로 했지만, 사각지대가 있을 수 있다”면서 “비상경제중앙대책본부내 산업・위기대응반을 통해 소통을 강화하겠다고 필요한 대응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