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도상국(개도국)에 빨간불이 켜졌다. 코로나19 확산에도 경제 위기를 우려한 개도국들이 하나둘씩 봉쇄 조처를 풀면서 '지옥문'이 열릴 수 있다는 공포가 커지고 있어서다.
지구촌 전역에서 코로나19가 맹위를 떨치자 세계 각국은 이동제한령 등 봉쇄 조처를 내놓았다. 그러나 봉쇄 조처가 길어지자 세계 각국에서는 감염 공포가 굶어 죽을 수도 있다는 공포로 번진 상태다. 코로나19로 가게와 공장 등 경제 활동이 멈추면서 빈국(貧國)의 시민들은 생사의 갈림길에 섰다. 국가 경제뿐 아니라 개인이 죽고 사는 문제까지 위협받자 일부 산업은 코로나19 확산 우려에도 다시 문을 열었다.
26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파키스탄, 가나, 인도 등 개도국이 봉쇄 빗장을 조금씩 풀고 있다. 코로나19 확산 우려에 내려진 이동 제한령 등 봉쇄 조처로 다니던 직장이 폐쇄되면서 생계가 위협받는 사람들이 늘고 있어서다. 아울러 생필품이나 음식 등을 판매하는 가게나 일부 산업 역시 멈췄던 운영에 재시동을 걸고 있는 분위기다. 그러나 코로나19 확산세가 완전히 잡히지 않은 상황에서 생계를 위해 무작정 봉쇄를 풀게 되면 코로나19 감염 사례가 급증할 수 있다는 게 문제다.
코로나19로 발이 묶였던 파키스탄은 국가 봉쇄 조처를 다음 달 9일까지 연장하면서도 건설업 등 일부 산업·상업 활동의 제한을 완화했다. 개도국에서 시민들을 죽이는 것은 코로나19가 아니라 '굶주림'이다. 생계형 노동자가 많은 개도국 특성상 코로나19로 일자리가 감소해 자신의 임금이 위협받는 게 더 큰 고통이기 때문이다.
임란 칸 파키스탄 총리는 "개도국에 사는 가난한 사람들은 코로나19에 감염되는 것보다 자신의 임금이 줄어드는 것에 더 큰 위협을 받고 있다"고 지적했다. 칸 총리는 개도국에 있는 가난한 사람들이 느끼는 두려움을 외부에 표현하는 데 있어 가장 큰 목소리를 내온 세계 지도자 중 한 명이다.
섣부른 봉쇄 조처 해제로 파키스탄 내 코로나19가 일파만파 퍼질 수 있다는 우려에 대해 정부는 큰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파키스탄 정부에서 코로나19 대응책임을 맡은 아사드 우마르 기획개발부 장관은 "표적 추적 방식의 스마트 봉쇄 시스템 도입으로 전염병을 억제하면서도 경제가 기능할 수 있도록 전략을 짰다"고 밝혔다.
남아프리카 가나 지역 역시 굳게 걸어 잠갔던 빗장을 풀기 시작했다. 사회적 봉쇄 조처가 빈곤층과 취약계층에 지나친 규제로 작용해 심각한 악영향을 끼친다는 이유에서다.
오는 27일부터 가나의 아크라와 쿠마시에 있는 비필수 사업장이 운영을 재개한다. 다만 불특정 다수가 모여 감염 우려가 큰 만큼 대규모 집회는 계속해서 금지한다는 방침이다.
아울러 가나는 발병 초기 턱없이 부족한 검사 건수로 문제가 됐던 코로나19 진단이 상당 부분 개선됐다. 지난주 1550명이 새롭게 확진 판정을 받았으며 이 가운데 11명이 숨졌다. 코로나19 진단검사가 확대되면서 가나에서의 확진자와 사망자가 감소세를 보이고 있는 것.
나나 아쿠포아 가나 대통령은 "다른 국가들이 채택하고 있는 대응 방법을 맹목적으로 따라갈 필요가 없이 가나만의 방식으로 코로나19를 극복하면 된다"며 봉쇄 해제에 문제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세계 보건 전문가들은 개도국에서의 감염자가 수가 과소평가되고 있을 수 있다며 우려를 제기했다. 이들 국가는 선진국보다 코로나19가 늦게 발병돼 아직 전염병 초기 단계에 있을 수 있다는 것. 실제로 인도와 파키스탄, 가나 등 개도국은 코로나19 핫스팟(집중발병지역)으로 불리는 미국, 유럽, 중국 등에 비해 상대적으로 감염자 수가 적다.
감염병·경제·정책연구센터의 라마난 락스미나라얀 소장은 "봉쇄 조처가 느슨해질 경우 코로나19 발병이 늘어나는 것은 시간문제"라면서 "추가적인 봉쇄조처가 필요할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
지구촌 전역에서 코로나19가 맹위를 떨치자 세계 각국은 이동제한령 등 봉쇄 조처를 내놓았다. 그러나 봉쇄 조처가 길어지자 세계 각국에서는 감염 공포가 굶어 죽을 수도 있다는 공포로 번진 상태다. 코로나19로 가게와 공장 등 경제 활동이 멈추면서 빈국(貧國)의 시민들은 생사의 갈림길에 섰다. 국가 경제뿐 아니라 개인이 죽고 사는 문제까지 위협받자 일부 산업은 코로나19 확산 우려에도 다시 문을 열었다.
26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파키스탄, 가나, 인도 등 개도국이 봉쇄 빗장을 조금씩 풀고 있다. 코로나19 확산 우려에 내려진 이동 제한령 등 봉쇄 조처로 다니던 직장이 폐쇄되면서 생계가 위협받는 사람들이 늘고 있어서다. 아울러 생필품이나 음식 등을 판매하는 가게나 일부 산업 역시 멈췄던 운영에 재시동을 걸고 있는 분위기다. 그러나 코로나19 확산세가 완전히 잡히지 않은 상황에서 생계를 위해 무작정 봉쇄를 풀게 되면 코로나19 감염 사례가 급증할 수 있다는 게 문제다.
코로나19로 발이 묶였던 파키스탄은 국가 봉쇄 조처를 다음 달 9일까지 연장하면서도 건설업 등 일부 산업·상업 활동의 제한을 완화했다. 개도국에서 시민들을 죽이는 것은 코로나19가 아니라 '굶주림'이다. 생계형 노동자가 많은 개도국 특성상 코로나19로 일자리가 감소해 자신의 임금이 위협받는 게 더 큰 고통이기 때문이다.
임란 칸 파키스탄 총리는 "개도국에 사는 가난한 사람들은 코로나19에 감염되는 것보다 자신의 임금이 줄어드는 것에 더 큰 위협을 받고 있다"고 지적했다. 칸 총리는 개도국에 있는 가난한 사람들이 느끼는 두려움을 외부에 표현하는 데 있어 가장 큰 목소리를 내온 세계 지도자 중 한 명이다.
섣부른 봉쇄 조처 해제로 파키스탄 내 코로나19가 일파만파 퍼질 수 있다는 우려에 대해 정부는 큰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파키스탄 정부에서 코로나19 대응책임을 맡은 아사드 우마르 기획개발부 장관은 "표적 추적 방식의 스마트 봉쇄 시스템 도입으로 전염병을 억제하면서도 경제가 기능할 수 있도록 전략을 짰다"고 밝혔다.
남아프리카 가나 지역 역시 굳게 걸어 잠갔던 빗장을 풀기 시작했다. 사회적 봉쇄 조처가 빈곤층과 취약계층에 지나친 규제로 작용해 심각한 악영향을 끼친다는 이유에서다.
오는 27일부터 가나의 아크라와 쿠마시에 있는 비필수 사업장이 운영을 재개한다. 다만 불특정 다수가 모여 감염 우려가 큰 만큼 대규모 집회는 계속해서 금지한다는 방침이다.
아울러 가나는 발병 초기 턱없이 부족한 검사 건수로 문제가 됐던 코로나19 진단이 상당 부분 개선됐다. 지난주 1550명이 새롭게 확진 판정을 받았으며 이 가운데 11명이 숨졌다. 코로나19 진단검사가 확대되면서 가나에서의 확진자와 사망자가 감소세를 보이고 있는 것.
나나 아쿠포아 가나 대통령은 "다른 국가들이 채택하고 있는 대응 방법을 맹목적으로 따라갈 필요가 없이 가나만의 방식으로 코로나19를 극복하면 된다"며 봉쇄 해제에 문제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세계 보건 전문가들은 개도국에서의 감염자가 수가 과소평가되고 있을 수 있다며 우려를 제기했다. 이들 국가는 선진국보다 코로나19가 늦게 발병돼 아직 전염병 초기 단계에 있을 수 있다는 것. 실제로 인도와 파키스탄, 가나 등 개도국은 코로나19 핫스팟(집중발병지역)으로 불리는 미국, 유럽, 중국 등에 비해 상대적으로 감염자 수가 적다.
감염병·경제·정책연구센터의 라마난 락스미나라얀 소장은 "봉쇄 조처가 느슨해질 경우 코로나19 발병이 늘어나는 것은 시간문제"라면서 "추가적인 봉쇄조처가 필요할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