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전방위적인 압박에도 중국 최대 통신장비업체 화웨이(華爲)가 스위스 반도체업체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와 손잡고 반도체를 공동 개발하기로 한 것으로 전해졌다.
28일 닛케이아시안리뷰는 소식통을 인용해 화웨이가 스마트폰, 자율주행 등 자동차 부문용 반도체를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이하 ST마이크로)와 개발하기로 했다고 보도했다.
ST마이크로는 전기자동차(EV) 대형업체 미국 테슬라, 독일 BMW에 반도체를 공급하는 등 자동차 부문 반도체에 특히 강하다. 앞서 화웨이에 반도체를 공급해왔는데, 이번에 공동 개발하기로 한 것이다.
매체는 "이번 협력으로 화웨이는 시높시스, 카덴체디자인시스템즈 등 미국 기업의 관련 제품을 함께 공급받을 수 있을 것"이라면서 "화웨이가 자동차 부문용 반도체를 개발하는 데 힘을 실어줄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이는 미국 정부가 화웨이에 대한 압박의 고삐를 바짝 죄고 있는 가운데 나온 것이다. 화웨이는 미국의 전방위적인 압박으로 반도체 부품을 확보하는 데 난항을 겪을 것으로 판단, 안정적으로 조달하기 위해 ST마이크로와 손을 잡은 것으로 풀이된다.
앞서 미국 연방 부처와 기관들이 국가 안보 위험을 이유로 자국 내 중국 국영통신업체의 사업 허가를 취소할 것을 연방통신위원회(FCC)에 요구했다.
이에 화웨이는 공급망 다변화를 선언하고 나선 상태다. 미국이 중국과 화웨이에 대한 수출 통제를 더욱 강화할 경우 삼성전자와 다른 기업들로부터 반도체 칩을 구입할 것이라고 밝혔다고 닛케이아시안리뷰가 전했다.
28일 닛케이아시안리뷰는 소식통을 인용해 화웨이가 스마트폰, 자율주행 등 자동차 부문용 반도체를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이하 ST마이크로)와 개발하기로 했다고 보도했다.
ST마이크로는 전기자동차(EV) 대형업체 미국 테슬라, 독일 BMW에 반도체를 공급하는 등 자동차 부문 반도체에 특히 강하다. 앞서 화웨이에 반도체를 공급해왔는데, 이번에 공동 개발하기로 한 것이다.
매체는 "이번 협력으로 화웨이는 시높시스, 카덴체디자인시스템즈 등 미국 기업의 관련 제품을 함께 공급받을 수 있을 것"이라면서 "화웨이가 자동차 부문용 반도체를 개발하는 데 힘을 실어줄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앞서 미국 연방 부처와 기관들이 국가 안보 위험을 이유로 자국 내 중국 국영통신업체의 사업 허가를 취소할 것을 연방통신위원회(FCC)에 요구했다.
이에 화웨이는 공급망 다변화를 선언하고 나선 상태다. 미국이 중국과 화웨이에 대한 수출 통제를 더욱 강화할 경우 삼성전자와 다른 기업들로부터 반도체 칩을 구입할 것이라고 밝혔다고 닛케이아시안리뷰가 전했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