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0/05/04/20200504082016173934.jpg)
AI로봇기반 발달장애아동 스마트케어 서비스 개념도. [그림=창원시 제공]
발달장애아동 곁에 인공지능 로봇을 둬 돌보게 한다면? 이런 가정을 현실 속에 실현하는 사업이 경남 창원시에서 처음 추진된다.
창원시는 행정안전부가 실시한 ‘2020년 첨단기술 활용 스마트서비스 지원사업’ 공모 사업에서 ‘AI로봇기반 발달장애아동 스마트케어 서비스’ 사업이 최종 선정됐다고 4일 밝혔다.
이 사업은 인공지능(AI) 기술과 빅데이터를 탑재한 로봇에 정보통신기술이 융합돼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주고받는 사물인터넷(IoT) 기술을 접목한 최첨단 서비스로 그동안 창원시가 역점 사업으로 공들여왔다.
AI로봇은 발달장애 청소년용 온라인 인지정서 평가 도구와 사회성 증진 프로그램 등을 탑재한 채 아동의 모든 행동을 학습하게 된다.
나아가 장애 아동의 모든 학습 내용을 AI기반 빅데이터 분석 플랫폼에 축적해 장애 개선을 위한 맞춤형 분석 보고서를 창출하는 것이다.
이런 과정은 발달장애 아동에게 꼭 필요한 전문 상담사의 방문 상담이 어려운 ‘코로나19’ 시기에 더욱 빛을 낼 것으로 보인다. 전문 상담사와 로봇을 통해 원격 상담도 가능해 발달장애 아동의 정서 안정에도 많은 도움이 될 것이기 때문이다.
창원시는 이 사업의 추진을 위해 경상남도발달장애인지원센터와 로봇전문기업 등과 협약을 맺고 서비스 체계를 구축해 올해 중 200명의 발달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AI로봇을 보급할 계획이다.
허성무 창원시장은 “발달장애 아동을 위한 스마트케어 사업은 창원시의 중점 역량이 결집된 혁신적인 서비스”라며 “향후 3년간 검증될 데이터를 바탕으로 창원형 스마트케어 복지모델로 정립시켜 전국으로 확산ㆍ보급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