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헬로비전은 올해 1분기 매출 2589억원, 영업이익 75억원, 순이익 43억원을 기록했다고 8일 밝혔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67억원(6.0%), 전 분기 대비 189억원(6.8%) 줄어든 수치다.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55억원(42.5%) 감소했으나, 전 분기 대비로는 49억원(187.1%) 증가했다.
당기순이익은 43억원을 기록하며 흑자로 돌아섰다. 전년 동기 대비 32억원(43.3%)이 감소했지만, 전 분기 순손실을 딛고 흑자 전환했다. LG헬로비전 측은 "화질개선과 채널확대를 통한 품질 향상, 기가인터넷 커버리지 확대, 키즈 콘텐츠 도입 등을 통해 ARPU(Average Revenue Per Unit, 가입자당 평균 매출액)를 높인 결과"라고 설명했다.
케이블TV ARPU는 7408원으로 전 분기 대비 86원 증가했다. 인터넷 ARPU도 1만1171원을 나타내며 2017년 4분기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반면 알뜰폰(MVNO)의 ARPU는 2만1978원으로 소폭 감소했다.
LG헬로비전의 각 서비스 가입자 증감추이를 살펴보면, 케이블TV 가입자의 경우 전 분기 대비 2000명 감소한 415만5000명이다. 유료방송의 경쟁이 심화된 가운데 3월부터 가입자가 순증하며 총 가입자 수를 지켜냈다는 설명이다. 월별 가입자가 순증한 것은 1년 만이다.
인터넷과 MVNO 가입자도 소폭 감소했다. 인터넷은 75만7000명으로 전 분기 대비 감소(4343명)했지만 3월부터는 가입자가 순증했으며, 전체 가입자 중 기가인터넷 비중도 52%를 넘어섰다. MVNO 가입자는 66만3000명으로 전 분기 대비 3만5000명 줄었지만, LTE가입률은 74.6%로 최고치를 기록했다.
안재용 LG헬로비전 상무(CFO)는 "M&A가 성공적으로 마무리된 후, 사업 경쟁력을 확보하고 체질을 개선하고 있다"며 "LG유플러스와의 시너지 효과로 가입자가 늘어나고, ARPU도 상승했기 때문에 곧 재무적 성과가 기대된다"고 말했다.
당기순이익은 43억원을 기록하며 흑자로 돌아섰다. 전년 동기 대비 32억원(43.3%)이 감소했지만, 전 분기 순손실을 딛고 흑자 전환했다. LG헬로비전 측은 "화질개선과 채널확대를 통한 품질 향상, 기가인터넷 커버리지 확대, 키즈 콘텐츠 도입 등을 통해 ARPU(Average Revenue Per Unit, 가입자당 평균 매출액)를 높인 결과"라고 설명했다.
케이블TV ARPU는 7408원으로 전 분기 대비 86원 증가했다. 인터넷 ARPU도 1만1171원을 나타내며 2017년 4분기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반면 알뜰폰(MVNO)의 ARPU는 2만1978원으로 소폭 감소했다.
LG헬로비전의 각 서비스 가입자 증감추이를 살펴보면, 케이블TV 가입자의 경우 전 분기 대비 2000명 감소한 415만5000명이다. 유료방송의 경쟁이 심화된 가운데 3월부터 가입자가 순증하며 총 가입자 수를 지켜냈다는 설명이다. 월별 가입자가 순증한 것은 1년 만이다.
안재용 LG헬로비전 상무(CFO)는 "M&A가 성공적으로 마무리된 후, 사업 경쟁력을 확보하고 체질을 개선하고 있다"며 "LG유플러스와의 시너지 효과로 가입자가 늘어나고, ARPU도 상승했기 때문에 곧 재무적 성과가 기대된다"고 말했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0/05/08/20200508114016398622.jpg)
[사진=LG헬로비전 제공]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