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0/05/08/20200508124152154252.jpg)
코로나19 브리핑하는 김강립 제1총괄조정관.[사진=연합뉴스]
정부가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 백신과 치료제 개발에 속도를 내겠다고 밝혔다.
김강립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1총괄조정관은 8일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정례브리핑에서 “향후 치료제 백신개발 방향에 대한 공감대 형성을 위한 전문가 포럼을 개최할 것”이라면서 “6월 초까지 코로나19 치료제, 백신 등 개발을 위한 로드맵을 수립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코로나19 치료제‧백신개발 범정부 지원단은 지난달 17일부터 치료제, 백신, 방역물품‧기기 3개 분과회의를 매주 운영하고, 범정부 지원단 및 실무추진단 회의를 격주로 개최하는 등 범정부 지원체계를 본격적으로 가동하고 있다.
특히 범정부 지원단은 치료제‧백신 개발의 가속화를 위해 가장 시급한 혈장치료제 개발의 제도적 지원과 생물안전시설의 민간 지원방안 등을 우선 추진하기로 했다. 혈장치료는 코로나19 회복기 환자의 혈장을 채취해 다른 환자에게 항체를 직접 공급하는 치료법이다.
김 1총괄조정관은 “코로나19 혈장치료제의 신속한 개발을 위해 완치자의 혈장을 최대한 많이 확보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설명했다.
또 코로나19 치료제와 백신 후보물질에 대한 효능 평가를 위해 생물안전 3등급 시설 BL-3을 민간기업이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김 1총괄조정관은 “민간에 지원할 수 있는 생물안전시설 현황조사 결과 질병관리본부 등 28개 시설이 사용 가능한 것으로 파악했다”면서 “정부는 BL-3 연구시설 이용을 희망하는 민간기업이나 연구소 등의 수요를 검토한 이후 기업애로사항 해소지원센터를 유관기관 합동조직으로 확대 개편해 더욱 신속하게 기업 등을 지원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한 식문화 개선도 추진한다. 식품의약품안전처(식약처)는 1982년부터 운영해 온 ‘음식문화 개선사업’ 체계를 활용해 지방자치단체‧영업자와 함께 생활방역 실천을 지원한다. 코로나19가 침방울을 통해 전파되는 만큼 개인용기 사용, 덜어먹기 등 개인위생 실천사항과 함께 생활 속 거리두기 세부지침을 외식영업자, 지자체, 정부가 함께 추진한다.
이를 위해 식약처는 위생관리 매뉴얼에 생활방역 지침을 포함해 공무원‧영업자 등이 활용하도록 하고, ‘생활방역수칙-음식점편’ 동영상을 제작해 영업자 교육시 사용한다. 외식‧급식 시설 내 홍보물도 게시한다.
아울러 지자체는 방역물품 지원을 통해 외식업체의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하고, 외식단체는 외식업소 위생교육에 지침 내용을 포함시키고 오는 18일부터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 우수 실천업소를 발굴‧홍보한다.
김 1총괄조정관은 “그동안 식사 시 찌개와 반찬을 공유하고, 공유 수저통과 양념통 사용, 종업원과 밀접접촉, 밀집한 테이블 배치와 같은 코로나19 위험요인이 있었다”며 “음식점에서 지그재그로 앉기, 식탁 간 1미터 간격유지, 조용한 분위기에서 식사하기, 배달과 포장 권장 등 침방울 전파 방지 조치가 이행될 수 있도록 외식영업자와 지자체, 정부가 함께 힘쓸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위생등급 평가나 컨설팅을 할 때 위생사항뿐 아니라 생활방역지침도 교육에 포함하고 지자체를 통해 손소독제와 소독약품을 외식영업자에게 지원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