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0/05/09/20200509122059143795.jpg)
8일 오후 신종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가 다녀간 서울 용산구 이태원의 한 클럽에 일시폐쇄 안내문 및 코로나19 예방 안내문 등이 붙어 있다. [연합뉴스]
서울 이태원 클럽을 중심으로 수도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집단감염 위험이 커지자 정부가 수도권의 감염 확산 대비를 위해 지자체의 병상을 공동으로 활용하는 체계를 구축한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수도권 3개 지자체(서울·경기·인천) 합산 코로나19 일일 확진자 발생 규모에 따라 1∼4단계로 구분, 이달부터 단계별로 공동 대응 체계를 가동한다고 9일 밝혔다.
하루 확진자가 100명 미만인 1단계(50명 미만), 2단계(50∼99명)인 경우에는 각 지자체가 기본적인 수요에 따라 거점전담병원과 공동생활치료센터를 지역별로 1∼3곳 지정해 시범적으로 운영할 예정이다.
하루 확진자 100명 발생 시점부터 24시간 이내 지자체 공무원, 의료인, 방역당국으로 구성된 통합 환자분류반을 설치, 각 지역 중증도별 병상 현황을 파악, 환자의 병원을 배정하게 된다.
기존의 지역별 거점전담병원을 수도권 협력병원으로 지정하는 한편, 수도권 협력병원에는 인근 환자를 행정 경계와 관계없이 배정한다.
정부는 이달 중 1·2단계에 해당하는 거점전담병원과 생활치료센터, 3·4단계에 해당하는 수도권 협력병원과 공동생활치료센터의 지정 계획을 수립해 지정한다. 이달 말부터 수도권 모형을 토대로 충청권·호남권·경북권·경남권·제주권 등 전국 권역별 협력체계를 추가 마련할 계획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