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상정 정의당 대표가 11일 전날 문재인 대통령이 취임 3주년 특별연설에서 밝힌 '전 국민 고용보험제 단계적 추진'에 대해 '안이하기 그지없는 대책'이라고 비판했다.
심 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상무위원회에 참석해 "고용보험 제도의 사각지대가 취업자의 절반 가까이에 이르고, 고용과 소득이 모두 불안정한 저소득층일수록 고용보험에서조차 배제된 현실을 감안할 때 이런 단계적 접근은 매우 안이하기 그지없는 대책"이라고 밝혔다.
심 대표는 "대통령의 선언을 환영하지만 이렇게 소극적인 방식은 사실상 1200만명에 달하는 고용보험 사각지대에 놓은 시민들을 상당 기간 방치하겠다는 것과 다름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심 대표는 "고용보험제도의 핵심 문제는 제도적으로조차 배제되어 있는 특수고용노동자와 자영업자 문제"라며 "특수고용노동자는 고용 관계가 특정되어야 하고, 자영업자의 경우 정부가 사용자의 역할을 대신하는 책임을 감당해야만 실업 안전망이 제대로 작동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심 대표는 "현재의 임금 기반 구조의 현 고용보험제의 틀을 그대로 유지한 채 단계적으로 대상을 확대해 나가는 방식으로는 고용보험제도의 사각지대를 온전하게 해소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본다"고 꼬집었다.
심 대표는 대안으로 "청년 구직자나 초단기 시간 노동자 등 이 제도의 당사자들이 밀려나지 않도록 지원의 자격요건은 완화하고, 금액은 적어도 실업 급여의 절반 수준으로 강화돼야 하며, 수습 기간도 6개월이 아니라 1년 정도로 확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심 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상무위원회에 참석해 "고용보험 제도의 사각지대가 취업자의 절반 가까이에 이르고, 고용과 소득이 모두 불안정한 저소득층일수록 고용보험에서조차 배제된 현실을 감안할 때 이런 단계적 접근은 매우 안이하기 그지없는 대책"이라고 밝혔다.
심 대표는 "대통령의 선언을 환영하지만 이렇게 소극적인 방식은 사실상 1200만명에 달하는 고용보험 사각지대에 놓은 시민들을 상당 기간 방치하겠다는 것과 다름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심 대표는 "고용보험제도의 핵심 문제는 제도적으로조차 배제되어 있는 특수고용노동자와 자영업자 문제"라며 "특수고용노동자는 고용 관계가 특정되어야 하고, 자영업자의 경우 정부가 사용자의 역할을 대신하는 책임을 감당해야만 실업 안전망이 제대로 작동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심 대표는 대안으로 "청년 구직자나 초단기 시간 노동자 등 이 제도의 당사자들이 밀려나지 않도록 지원의 자격요건은 완화하고, 금액은 적어도 실업 급여의 절반 수준으로 강화돼야 하며, 수습 기간도 6개월이 아니라 1년 정도로 확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0/05/11/20200511132943588472.jpg)
심상정 정의당 대표가 11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상무위원회에서 발언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