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일 농림축산식품부와 농촌진흥청에 따르면 올해 과수화상병이 5월 중하순부터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또 과수화상병이 묘목을 통해 먼 거리로 확산할 가능성도 있다.
과수화상병은 주로 사과와 배에 피해를 주는 세균성 식물 병이다. 잎과 줄기, 과일이 불에 탄 듯 갈색이나 검은색으로 변하고 마르는 증상을 보인다.
치료 방법이나 백신이 없어 일단 발병하면 인근 지역까지 과수를 모두 없애야 할 정도로 피해가 커 '과수 구제역'으로도 불린다.
또 매년 실시하는 과수원 정기 예찰 대상에 전국의 사과·벼 묘목 재배지도 새로 포함하기로 했다. 대상 재배지에는 병해충 방제비를 지원해 이달 중 1~3회 약제를 살포한다.
사과·배 묘목 생산·판매 업체를 대상으로 품질표시사항 준수 여부 등을 정기적으로 조사해 불량 묘목 유통도 적극 차단하기로 했다.
정충섭 농진청 재해대응과장은 "과수화상병 확산 예방을 위해 과수 재배 농업인들의 적극적인 예찰과 신고가 중요하고 개화기 이후 3차 방제도 반드시 실시해야 한다"며 “재배 관리 및 방역 매뉴얼도 충실히 지켜줄 것"을 당부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