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한, 당국은 이태원 클럽 방문자들이 개인정보 노출 위험을 걱정해 검사를 피하는 것과 관련해선 동선 공개대상을 축소해 개인정보를 엄격히 보호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강립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1총괄조정관은 13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정례 브리핑에서 인천 학원강사 확진 사례를 언급하면서 “부정확한 진술이 반복된다면 2차, 3차 감염의 확산을 막을 수 없고 신천지 사례처럼 우리 사회 전체가 다시 위험해질 수 있다”고 말했다.
인천시에 따르면 학원강사 A씨는 지난 연휴기간인 2~3일 이태원 킹클럽을 방문하고 미추홀구 보건소에서 검체 검사를 받은 뒤 9일 양성 판정을 받았지만, 역학조사 과정에서 학원강사임을 밝히지 않았다.
김 총괄조정관은 “초기에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지 않으면 방역당국이 적절한 조치를 하지 못하고 추가 감염 확산 이후에야 대응할 수 있게 돼 정부와 지자체의 방역 노력에 커다란 구멍이 된다”며 “비난이 두려워 역학조사에 거짓을 말하는 것은 사회 일원으로서 책임감 있는 자세가 아니다”고 지적했다.
동시에 방역당국은 “개인이 거짓 정보를 진술하게 하는 것은 뒤따르는 비난과 차별 등에 대한 우려 때문”이라며 국민들에게 확진자에 대한 ‘낙인찍기’를 멈춰 달라고 당부하고 당국도 동선 공개 시 개인정보를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방역당국 설명에 따르면 이날부터 최초 환자 동선을 공개할 때만 상호명과 같은 특정 가능한 정보를 공개하고 이후 추가 확진자가 같은 업소를 방문하더라도 상호명 등을 공개하지 않는다.
현재까지 방역당국에 따르면 전국에 이태원 글럽 관련 확진자는 총 119명으로 집계됐다.
방역당국은 신용카드 사용 내역 조회, 기지국 접속자 파악, 경찰과의 협조를 통해 연락이 닿지 않는 클럽 방문자를 추적하고 있다.
김 총괄조정관은 "개인이 유흥시설 출입명부를 거짓 정보로 작성한 것에 대해 처벌할 명확한 법적 근거를 찾기가 쉽지 않다"며 "가능하다면 개인에 대해서도 처벌이 가능할지 여부를 내부적으로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