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같은 우한의 대대적인 방역조치 배경에 이목이 쏠린다. 코로나19 재확산을 완전히 막겠다는 강한 의지인 건 알겠지만, 전 시민을 상대로 진단 검사를 할 만큼 대규모 감염이 발생한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중국 제일재경(第一財經)에 따르면 우한은 △무증상자 전파에 대한 우려 △빠른 우한 경제 회복 △코로나19 검사 및 방역 능력 향상이라는 세 가지 이유로 전 시민의 코로나19 검사를 실시하게 됐다.
우한 위생건강위원회에 따르면 우한시에서는 지난 9일 둥시후구 창칭거리 싼민 구역에서 확진자가 나왔다. 이곳에서 신규 확진자가 나온 것은 지난달 3일 이후 처음이다. 이튿 날 이 곳에선 추가로 5명의 확진자가 발생했다. 모두 9일 확진자로부터 감염된 것이다.
문제는 총 6명의 확진자 중 5명이 무증상 감염자에서 확진자로 전환된 사례다. 게다가 최초 확진자인 89세 남성 가오씨는 지난 1월 말 중국 춘제(春節·중국 설) 이후 지역을 벗어난 적이 없다고 한다. 대규모 무증상 감염자가 더 있을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진 대목이다. 사실 우한이 포함된 후베이성에서는 거의 매일 10명 안팎의 무증상 감염자가 발견되고 있다.
시민 전체를 검사해 코로나19 재확산을 막는다면 우한의 빠른 경제 회복에 도움을 준다는 분석도 나온다. 제일재경에 따르면 우한의 코로나19 검사 비용은 1인당 200위안(3만4504원) 가량이다. 이를 우한 시민 1100만명에 실시한다고 계산하면 전체 비용은 22억 위안에 달한다. 이 역시도 큰 비용 손실이지만, 코로나19로 인한 피해 규모는 더 크다는 계산이다. 실제 코로나19 예방을 위해 우한이 봉쇄됐을 때 입었던 하루 손실액은 무려 60억 위안이었다.
게다가 중국에서 우한은 코로나19의 피해가 가장 컸던 만큼 조업 재개 등의 회복 상황도 다른 지역에 비해 더딘 편이다. 제일재경은 “우한 시내 가게의 절반이 여전히 문을 닫았고, 코로나19 공포심에 소비 침체가 심각한 상황”이라며 “전 시민을 대상으로 핵산 검사를 한다면 시민들이 안심하고 거리에 나가 소비할 수 있게 도울 것”이라고 설명했다.
지난 1월부터 전 세계에서 가장 먼저 코로나19를 겪었던 만큼 전염병 대응체계와 검사 능력 향상도 전 시민 대상 코로나19 검사를 가능케 한 조건이다. 당국이 공언한 10일 내 1000만명의 진단 검사 완료를 이루려면 하루 평균 100만명의 검사 능력이 필요하다. 물론 현실적으로 이 목표를 100% 달성하긴 역부족이라는 평가도 있다.
우한 내 공식 코로나19 검사 기관의 하루 가능 검사 능력은 4만6000명이다. 100만명에 크게 못 미치는 수준이다.
이에 따라 우한은 사설 검사업체에 검사를 맡길 계획이다. 제일재경에 따르면 우한 내 사설 검사업체는 총 12곳으로, 이들의 하루 평균 검사 가능 능력은 36만명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