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프레시웨이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1분기에 우울한 성적표를 받았다. 식자재 유통 부문과 단체 급식 부문 매출 타격이 컸다.
CJ프레시웨이는 연결 기준 올해 1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9.4% 감소한 6025억원을 기록했다고 13일 공시했다.
영업손실은 126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영업이익 66억원)과 비교해 적자전환했다.
특히 식자재 유통 부문 매출은 전년보다 약 21% 감소한 4796억원이었고, 단체급식 부문 매출도 약 2% 감소해 1013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코로나19로 인한 사회 전반적인 외부활동 자제 분위기가 형성되면서 전방산업인 외식업 경기가 급격히 하락해 식자재 유통 실적에 영향을 미쳤기 때문이다.
여기에 재택근무 등으로 단체급식 사업장의 정상적인 영업이 어려웠던 반면 인건비 등 고정비 부담 증가 영향으로 영업손실이 발생한 것으로 분석된다.
CJ프레시웨이 관계자는 "1분기는 전통적인 비수기인 데다 코로나19의 직접적인 영향까지 받으면서 부진한 실적을 보였다"며 "2분기에도 대외적인 불확실성이 지속될 전망이지만 신규 수주 와 맞춤형 영업활동 강화, 체질 개선 노력을 통해 사업 성장의 전환점을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CJ프레시웨이는 연결 기준 올해 1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9.4% 감소한 6025억원을 기록했다고 13일 공시했다.
영업손실은 126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영업이익 66억원)과 비교해 적자전환했다.
특히 식자재 유통 부문 매출은 전년보다 약 21% 감소한 4796억원이었고, 단체급식 부문 매출도 약 2% 감소해 1013억원을 기록했다.
여기에 재택근무 등으로 단체급식 사업장의 정상적인 영업이 어려웠던 반면 인건비 등 고정비 부담 증가 영향으로 영업손실이 발생한 것으로 분석된다.
CJ프레시웨이 관계자는 "1분기는 전통적인 비수기인 데다 코로나19의 직접적인 영향까지 받으면서 부진한 실적을 보였다"며 "2분기에도 대외적인 불확실성이 지속될 전망이지만 신규 수주 와 맞춤형 영업활동 강화, 체질 개선 노력을 통해 사업 성장의 전환점을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