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임 2년이 지난 윤 원장의 교체설이 나오는 배경에 대해 금융권은 파생결합펀드(DLF)와 라임 사태 때문이라고 입을 모은다. 그는 취임 초부터 '호랑이'로 불리며 금융사와 전쟁도 마다하지 않는다고 밝혀왔다. 하지만 우리은행과 하나은행이 불완전 판매한 DLF에 대한 사전적 검사에 실패했다는 비난을 면치 못했다.
라임 사태는 금감원 인사가 직접 연루되면서 파장이 더 컸다. 본인이 해결하기로 천명한 키코와 즉시연금 사태도 결과가 지지부진하다. 금감원은 지난해 12월 키코 관련 배상 판결을 내렸지만, 국책은행인 산업은행과 씨티은행은 배임 소지 등을 이유로 조정안을 거부했다. 신한·하나·대구은행은 지난 6일 수락 기한을 다섯 차례 연장해 6개월째 결정을 미뤘다. 배상을 결정한 은행은 우리은행뿐이다. 보험금 과소 지급을 결정한 즉시연금 사태도 결국 법원으로 갔다.
이런 가운데 금융사의 불만은 극에 달했다. 금감원의 '무소불위' 권력에 시달려야 했기 때문이다. 상위 기구인 금융위와도 다른 의견을 내며, 금융사들이 이해하지 못할 제재를 가해 원성은 더욱 커졌다. 한편, 감사원은 지난 3월 금감원 감사에 착수했으며 금융사에 직접 제보 창구를 개설하기도 했다.
삼성바이오로직스, 특사경 등 금융위원회와 끊이지 않는 잡음도 문제다. 금융위와 최종구 전 금융위원장은 퇴임 전까지 윤 원장과 제대로 대화조차 안 했다는 후문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윤석헌 원장 취임 이후 '전쟁'이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금감원이 금융사에 대한 관리·감독을 강화했지만, 너무 많은 사고가 터졌다"며 "윤 원장이 금융위원회와 관계에서도 불필요한 잡음을 많이 만든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교체설이 나오면서 후임으로는 김오수 전 법무부 차관과 전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인 정은보 한미방위비분담 협상 대표가 거론된다.
김 전 차관은 지난 2018년 김기식 전 금융감독원장 후임으로도 거론됐다. 특히 김오수 전 차관은 광주 대동고 출신으로 유명하다. 지난 수년간 금융권에서는 1960년대생 광주 대동고 출신 인사들이 약진하고 있으며 김 전 차관에 대한 정부의 신뢰가 두터워 요직에 등용될 가능성이 높다.
정 전 차관은 관료 출신으로 크고 작은 금감원 문제를 해결할 적임자라는 평가다. 제28회 행정고시 출신으로 금융위원회 부위원장, 기획재정부 차관보, 금융위 사무처장·금융정책국장 등을 역임한 정통 경제 관료다.
현재 그가 방위비분담 협상 대사를 맡은 이유도 정책 조율이 뛰어난 전문 경제 관료로서 합리적인 방위비, 즉 '비용' 조절 힘을 싣기 위함이라고 알려졌다. 하지만 정권 내에서는 정은보 대표가 박근혜 정권 사람이라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박 정권 시절 금융위 차관을 지낸 만큼 현 정권에서 요직을 맡기기 충분하지 않다는 지적이다.
반면, 윤 원장의 인맥 때문에 외부 압박에 의한 교체는 사실상 없을 것이라는 의견도 있다. 문재인 대통령의 복심인 장하성 주중대사와 김상조 청와대 정책실장과의 인연 때문이다.
장 대사와 윤 원장은 경기고 동문으로 같은 한국금융학회장 출신이다. 윤 원장이 경기고 6년 선배고 금융학회장도 10년 선배다. 김 정책실장과는 서울대 동문이며 한국금융학회로 엮인다. 김상조 정책실장은 지난 2014~2015년 한국금융학회 이사와 2015~2016년 한국금융학회 부회장을 역임했다.
또 다른 금융권 관계자는 "작년에도 윤 원장 교체설이 나왔지만 인사가 나지 않은 만큼 이번에도 지켜봐야 한다"며 "다만, 윤 원장의 감독 실패를 질타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는 것은 사실"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