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文대통령 “5·18 정신, 개헌 논의 시 헌법 전문에 담아야”(종합)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김봉철 기자
입력 2020-05-17 09:23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민주화운동 40주년 기념 광주MBC 인터뷰

  • “제일 먼저 생각나는 사람, 노무현 변호사”

  • “광주 시민에 큰 죄책감…부채 의식 있어”

문 대통령은 17일 5·18 민주화운동의 정신을 헌법 전문에 담아야 한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전 방송된 광주MBC 5·18 민주화운동 특별 프로그램 ‘문재인 대통령의 오일팔’에서 “저는 비록 헌법안 개헌이 좌절됐지만, 앞으로 언젠가 또 개헌이 논의가 된다면 헌법 전문에서 그 취지가 반드시 되살아나야 한다고 생각한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5·18 민주화운동에 대한 문 대통령의 소회를 담은 이번 인터뷰는 지난 12일 청와대 상춘재에서 진행됐다.

문 대통령은 “촛불혁명은 시기상으로 아주 가깝기 때문에 정치적 논란의 소지가 있어서 아직 헌법 전문에 담는 것이 이르다고 하더라도 적어도 5·18 민주운동과 6월 항쟁의 이념만큼은 우리가 지향하고 계승해야 될 하나의 민주 이념으로서 우리 헌법에 담아야 우리 민주화운동의 역사가 제대로 표현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이 5·18 민주화운동을 둘러싼 왜곡된 시선에 대해 “5·18을 폄훼하고 왜곡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단호한 대응이 있어야 할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역설했다.

문 대통령은 “다양한 생각을 허용하고, 또 다른 생각에 대해서도 관용하는 표현의 자유를 존중하는 것이 민주주의의 기본”이라면서도 “그러나 그 민주주의의 관용이 민주주의를 파괴하는 여러 가지 폄훼에 대해서까지 인정될 수 있는 것은 아니다”라고 일축했다.

그러면서 “법적으로 다 정리된 사안을 지금까지도 왜곡하고 폄훼하는 발언들이 있고, 일부 정치권에서조차도 그런 주장들을 받아들여서 확대 재생산시켜지는 일들이 지금도 진행되고 있다는 것이 참으로 안타깝다”고 덧붙였다.

또한 문 대통령은 5·18 민주화운동과 관련한 진상규명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여전히 발포의 명령자가 누구였는지, 발포에 대한 법적인 최종 책임이 어디에 있는지, 이런 부분들은 밝혀지지 않았다”면서 “아직도 행방을 찾지 못하고, 또 시신도 찾지 못해서 어딘가에는 암매장돼 있을 것으로 추정이 되는 그런 집단 학살자들, 그분들을 찾아내는 일들, 또 헬기 사격까지 하게 된 그 어떤 경위뿐만 아니라 그 이후에 대대적으로 이뤄진 진실을 은폐하고 왜곡한 공작의 실상들까지 다 규명돼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문 대통령은 5·18 민주화운동을 이끈 광주 시민들에 대해 깊은 죄책감도 표했다. 문 대통령은 “제가 광주 5.18 소식을 들었을 때 민주화의 아주 중요한 길목에 다시 군이 나와서 군사독재를 연장하려고 한다는 그 사실에 굉장히 비통한 그런 심정이었다”면서 “한편으로 광주 시민들이 겪는 엄청난 고통을 들으면서 굉장히 큰 죄책감을 느꼈다”고 회고했다.

당시 경희대 복학생이었던 문 대통령이 반대한 서울 지역 총학생 회장단의 퇴각 결정이 결과적으로 광주 시민이 홀로 계엄군에 맞설 수밖에 없는 상황을 만들었다는 것이다.

문 대통령은 “저뿐만 아니라 광주 지역 바깥에 있던 당시 민주화운동 세력들 모두가 이 광주에 대한 어떤 부채의식, 그것을 늘 가지고 있었고 그 부채의식이 그 이후 민주화운동을 더욱 더 확산시키고 촉진시키는 그런 계기가 됐다고 생각한다”면서 “그런 점에서 당시 광주 오월 영령들을 비롯한 광주 시민들은 우리 1980년대 이후 대한민국 민주화운동의 상징과 같은 그런 존재가 됐다”고 평가했다.

문 대통령은 5·18 민주화운동과 관련해 떠오르는 인물로는 노무현 전 대통령을 꼽았다. 1987년 5월, 당시 노무현 변호사와 함께 부산 시민들에게 광주의 실상을 담은 비디오를 보여준 것이 6월 항쟁의 원동력을 마련했다는 것이다.

문 대통령은 “1980년대 이후의 부산 지역의 민주화운동은 광주를 알리는 것이었다”고 했다.

문 대통령은 “처음에는 유인물들을 통해서 광주의 진실을 알리기도 하고, 또 해마다 5·18이 되면 버스를 2대, 3대 전세 내서 민주화운동 하는 분들이 함께 합동으로 5·18 묘역을 참배하기도 하고, 그러다 조금 시간이 지나고 난 이후에는 그 당시의 광주의 상황을 촬영한 동영상들, 이른바 광주 비디오라고 부르던, 거의 한 시간 정도 되는 분량이었는데, 그 내용이 너무나 생생하고 정말로 참혹한 것이었다”고 회고했다.

문 대통령은 “누구나 그에 대해서는 다른 해석을 할 수가 없는 그런 말하자면 확실한 증거가 되는 그런 비디오인데 그 비디오들을 처음에는 성당이나 교회에서 몇 사람들이 돌려보다가 나중에는 대학의 동아리들, 학생회 이런 차원에서도 돌려보고, 6월 항쟁이 일어났던 1987년 5월에는 당시의 노무현 변호사와 제가 주동이 돼서 부산 가톨릭센터에서 5·18 광주 비디오, 말하자면 관람회를 가졌다”고 했다.

문 대통령은 “그러면 부산 시민들이 줄을 서서 기다려서 광주 비디오를 보고, 그때 비로소 광주의 진실을 알게 된 그런 분들도 많았다”면서 “그런 것이 부산 지역 6월 항쟁의 큰 동력이 됐다고 생각하고, 또 부산의 가톨릭센터가 6월 항쟁 때 서울의 명동성당처럼 자연스럽게 부산 지역 6월 항쟁을 이끄는 그런 중심지 역할을 했다”고 부연했다.

문 대통령은 “그런 일들을 함께했던 그 노무현 변호사, 광주 항쟁의 주역은 아니지만 그러나 광주를 확장한 그런 분으로서 기억을 하고 싶다”고 전했다.

문재인 대통령이 12일 청와대 상춘재에서 올해로 40주년을 맞은 5·18 민주화운동과 관련해 광주MBC와 인터뷰를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