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0/05/17/20200517121338533259.jpg)
[사진=연합뉴스]
중소기업중앙회는 17일 도소매·음식·숙박·기타서비스업 소상공인 500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코로나19 관련 소상공인 정책과제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결과, 정부의 코로나19 지원 중 소상공인에게 가장 효과적인 지원책은 '대출·보증지원 확대'(40%)였다.
이어 △임대료 인하 시 세액공제(23.2%) △신용·체크카드 소득공제율 확대(14.4%) △고용유지지원금 확대(12.4%) △간이과세자 범위 확대(8.2%) 순이었다.
현재 소상공인을 위해 가장 필요한 지원책(복수응답)으로는 △세(稅) 부담 완화(61.4%) △자금 지원 확대(58.4%) △소상공인 제품·서비스 소비촉진(9.6%) 등을 희망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향후 중점적으로 추진해야 할 소상공인 정책방향은 △신용·체크카드 소득공제 확대 등 소비촉진 지원책 확대(43.4%) △세금 투입을 통한 한계기업 지원 확대(35.2%) △대기업의 소상공인 영역 진출을 제한하는 규제 및 감독 강화(9.2%) 등 순으로 나타났다.
추문갑 중기중앙회 경제정책본부장은 "코로나19 확산으로 소상공인들은 자금난 해소, 소비 촉진 등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정책 시행을 요구하고 있는 만큼 코로나 사태 장기화에 대비해 상황 변화에 맞는 적절한 대처가 필요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