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코로나19 집단감염을 막기 위해 18일부터 8주간 입영 군인을 대상으로 진단검사에 나선다.
정은경 중앙방역대책본부장은 17일 충북 오송 질병관리본부에서 열린 방대본 정례브리핑에서 이같은 계획을 밝혔다.
방대본과 국방부는 앞으로 8주간 매주 입영군인 6300여명을 검사한다. 군에서는 여러 명의 검체를 채취해 한번에 검사하는 '취합검사법'을 활용한다. 이는 검사 시간을 대폭 단축한다.
정 본부장은 “20대의 코로나19 발병률이 높고, 군부대에서는 집단생활을 하고 신체 접촉이 많은 훈련이 이뤄지기에 한두명이라도 환자가 발생하면 집단발병으로 이어질 수 있다”며 “안전을 위해 입소 전에 검사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앞서 지난 11일 국방부는 지난달 26일부터 5월 6일까지 이태원 인근 유흥 시설을 이용한 장병은 자진신고하라는 국방부 지침에 따라 현재까지 47명이 스스로 신고했다고 전했다.
47명 중 훈련병이 30여명이고 나머지는 간부와 병사 등이다. 군은 이들을 격리 조치하고 코로나19 감염 여부 확인을 위한 유전자증폭(PCR) 검사를 시행한 것으로 전해졌다.
정은경 중앙방역대책본부장은 17일 충북 오송 질병관리본부에서 열린 방대본 정례브리핑에서 이같은 계획을 밝혔다.
방대본과 국방부는 앞으로 8주간 매주 입영군인 6300여명을 검사한다. 군에서는 여러 명의 검체를 채취해 한번에 검사하는 '취합검사법'을 활용한다. 이는 검사 시간을 대폭 단축한다.
정 본부장은 “20대의 코로나19 발병률이 높고, 군부대에서는 집단생활을 하고 신체 접촉이 많은 훈련이 이뤄지기에 한두명이라도 환자가 발생하면 집단발병으로 이어질 수 있다”며 “안전을 위해 입소 전에 검사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47명 중 훈련병이 30여명이고 나머지는 간부와 병사 등이다. 군은 이들을 격리 조치하고 코로나19 감염 여부 확인을 위한 유전자증폭(PCR) 검사를 시행한 것으로 전해졌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