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은 18일 제40주년 5·18 민주화운동 기념식에 참석해 5·18 민주유공자의 고귀한 희생정신을 기렸다.
이날 오전 국가보훈처 주최로 5·18 민주광장에서 열린 기념식에는 국가보훈처장과 광주시장, 전남도지사, 5·18 민중항쟁기념행사위원회 상임위원장, 5·18 민주화운동 진상규명조사위원회 위원장 등이 참석해 민주·인권·평화의 숭고한 정신 계승을 다짐했다.
5·18 기념식이 옛 전남도청에서 열린 것은 1997년 정부가 법정기념일로 지정한 이후 이번이 처음이다. 와대는 “광장이 항쟁 당시 ‘본부’였고 광장 분수대를 연단 삼아 각종 집회를 열며 항쟁 의지를 불태웠던 역사적 현장이라는 점을 고려해 선정됐다”고 장소 선정 배경을 밝혔다.
‘세월은 흘러가도 산천은 안다’를 주제로 열린 기념식은 5·18 유공자 및 유족, 민주・시민단체 주요 인사 등 400여명이 참여한 가운데 방송인 김제동의 사회로 △대통령 내외 입장 △개식 선언 △오프닝 영상 △국민의례 △경과 보고 △유족 편지 낭독 △기념사 △헌정 공연 △임을 위한 행진곡 제창 △폐식 및 대통령 내외 퇴장 순으로 진행됐다.
행사 주제인 ‘세월은 흘러가도 산천은 안다’는 5·18에 대한 이념적 논쟁과 트라우마를 극복하고, 부당한 권력에 맞서 민주주의 수호를 위해 항거한 5·18 정신을 미래 세대에 계승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광주 5·18 트라우마센터의 추천으로 사회를 맡은 방송인 김제동은 지난 10여년간 5·18 관련 봉사 활동을 이어왔으며, 기념식 하루 전에는 ‘오월 어머니회’ 행사 진행을 맡기도 했다.
‘미래세대에게 전하는 5·18’을 주제로 한 오프닝 영상은 역사적 사실을 바탕으로 제작된 5·18 민주화운동 관련 영화 영상을 활용해 40년 전의 모습을 생동감 있게 전달했다.
국민의례에서는 문흥식 5·18 구속부상자회장이 5·18 40주년을 맞이해 김용택 시인이 쓴 묵념사 ‘바람이 일었던 곳’을 낭독했다.
경과보고는 매해 5·18 주요단체장들이 순서에 따라 한 명씩 대표자로 발표했던 관례를 깨고, 5·18의 역사와 정신을 계승하는 미래세대 주역으로 선정된 청년들이 발표에 나섰다.
이어 항쟁 당시 희생된 고(故) 임은택씨의 아내 최정희(73세)씨는 남편에게 쓴 편지를 낭독했다. 낭독이 끝난 뒤에는 가수 김필이 김광진의 ‘편지’를 피아노 연주에 맞춰 노래했다.
낭독과 노래로 이어진 ‘편지’는 5·18의 아픔이 광주만의 슬픔이 아닌, 사랑하는 이를 잃은 인간의 보편적 슬픔이자 비극이라는 메시지를 전달했다.
5·18 40주년을 맞아 음악감독 정재일과 영상감독 장민승의 협업으로 제작된 총 23분의 ‘내 정은 청산이오’는 추모의 마음과 함께 미래세대에게 5·18이라는 역사적 사실을 잊지 않아야 한다는 의미를 담아 헌정 공연을 통해 최초 공개됐다.
정 감독은 남도의 정수라 불리는 민요 ‘육자배기’, 한국전통문화의 핵심 중 하나인 ‘진도 씻김굿’과 민주주의의 상징곡 ‘임을 위한 행진곡’을 다양한 구성과 형태로 활용해 작곡했다.
장 감독은 5·18의 상흔이 고스란히 간직된 옛 국군광주병원의 모습과 당시 수감자들이 붙잡혔던 옛 광주교도소의 독방과 복도, 1980년 당시 제작된 석판화와 5·18 역사 자료 등을 활용한 특별 연출 장면들을 구성했다.
이날 오전 국가보훈처 주최로 5·18 민주광장에서 열린 기념식에는 국가보훈처장과 광주시장, 전남도지사, 5·18 민중항쟁기념행사위원회 상임위원장, 5·18 민주화운동 진상규명조사위원회 위원장 등이 참석해 민주·인권·평화의 숭고한 정신 계승을 다짐했다.
5·18 기념식이 옛 전남도청에서 열린 것은 1997년 정부가 법정기념일로 지정한 이후 이번이 처음이다. 와대는 “광장이 항쟁 당시 ‘본부’였고 광장 분수대를 연단 삼아 각종 집회를 열며 항쟁 의지를 불태웠던 역사적 현장이라는 점을 고려해 선정됐다”고 장소 선정 배경을 밝혔다.
‘세월은 흘러가도 산천은 안다’를 주제로 열린 기념식은 5·18 유공자 및 유족, 민주・시민단체 주요 인사 등 400여명이 참여한 가운데 방송인 김제동의 사회로 △대통령 내외 입장 △개식 선언 △오프닝 영상 △국민의례 △경과 보고 △유족 편지 낭독 △기념사 △헌정 공연 △임을 위한 행진곡 제창 △폐식 및 대통령 내외 퇴장 순으로 진행됐다.
광주 5·18 트라우마센터의 추천으로 사회를 맡은 방송인 김제동은 지난 10여년간 5·18 관련 봉사 활동을 이어왔으며, 기념식 하루 전에는 ‘오월 어머니회’ 행사 진행을 맡기도 했다.
‘미래세대에게 전하는 5·18’을 주제로 한 오프닝 영상은 역사적 사실을 바탕으로 제작된 5·18 민주화운동 관련 영화 영상을 활용해 40년 전의 모습을 생동감 있게 전달했다.
국민의례에서는 문흥식 5·18 구속부상자회장이 5·18 40주년을 맞이해 김용택 시인이 쓴 묵념사 ‘바람이 일었던 곳’을 낭독했다.
경과보고는 매해 5·18 주요단체장들이 순서에 따라 한 명씩 대표자로 발표했던 관례를 깨고, 5·18의 역사와 정신을 계승하는 미래세대 주역으로 선정된 청년들이 발표에 나섰다.
이어 항쟁 당시 희생된 고(故) 임은택씨의 아내 최정희(73세)씨는 남편에게 쓴 편지를 낭독했다. 낭독이 끝난 뒤에는 가수 김필이 김광진의 ‘편지’를 피아노 연주에 맞춰 노래했다.
낭독과 노래로 이어진 ‘편지’는 5·18의 아픔이 광주만의 슬픔이 아닌, 사랑하는 이를 잃은 인간의 보편적 슬픔이자 비극이라는 메시지를 전달했다.
5·18 40주년을 맞아 음악감독 정재일과 영상감독 장민승의 협업으로 제작된 총 23분의 ‘내 정은 청산이오’는 추모의 마음과 함께 미래세대에게 5·18이라는 역사적 사실을 잊지 않아야 한다는 의미를 담아 헌정 공연을 통해 최초 공개됐다.
정 감독은 남도의 정수라 불리는 민요 ‘육자배기’, 한국전통문화의 핵심 중 하나인 ‘진도 씻김굿’과 민주주의의 상징곡 ‘임을 위한 행진곡’을 다양한 구성과 형태로 활용해 작곡했다.
장 감독은 5·18의 상흔이 고스란히 간직된 옛 국군광주병원의 모습과 당시 수감자들이 붙잡혔던 옛 광주교도소의 독방과 복도, 1980년 당시 제작된 석판화와 5·18 역사 자료 등을 활용한 특별 연출 장면들을 구성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