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7월 농번기에 충분한 물이 공급될 수 있는지에 따라 한 해 농사가 결정된다. 가뭄이 길어지면 농산물 작황 부족으로 소비자물가도 영향을 받을 정도다. 생활용수·공업용수 역시 공급량에 따라 국민의 삶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준다.
이렇듯 국가 가뭄 정보 포털은 댐·하천·지하수·수질·수 생태·피해 등 가뭄 관련 기초정보를 토대로 가뭄 상태를 알리고 예측한 정보도 제공한다.
첨단 시뮬레이션 모델, 통계 기법, ICT 기술 접목 등 지속해서 가뭄 현황·예측 분석 능력을 키워 가뭄 예·경보의 신뢰도를 높이고, 계속 쌓이는 가뭄 정보를 활용해 국가의 가뭄 관련 정책 및 기술 지원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가뭄 정보 포털의 서비스 목표다.
시·군별 가뭄 피해정보관리 서비스를 통해 제한급수 지역을 즉각적으로 알려주기도 한다.
그뿐만 아니라 전국의 지하수 상태 지도를 제공해 국민이 깨끗한 물을 마실 수 있도록 알려주는 기능도 있다. 여전히 도서·벽지는 상수도 시설이 들어서지 않아 지하수 음용률이 높은 상태다. 지하수 상태를 지도 서비스로 알려주는 만큼 자칫 오염된 지하수를 마시는 일을 예방한다.
공사 관계자는 "가뭄이 발생하더라도 일반 국민은 가뭄을 체감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며 "실시간으로 수원에 대한 정보를 모으고 실제 용수가 공급되는 계통을 반영해 물을 사용하는 해당 사용자들이 가뭄을 직접 체감할 수 있는 체계로 시스템을 구성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