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통상자원부는 19일 수소추출시설 구축사업 지원대상을 최종 선정했다. 수소추출시설은 소규모 3곳과 중규모 2곳으로 나눴다.
소규모 추출시설은 부산광역시, 대전광역시, 강원도 춘천시 총 3개 지역이 선정됐다. 이곳에서는 일평균 약 1톤의 수소를 추출한다. 이는 수소버스 40대를 하루동안 돌릴 수 있는 양이다. 소규모 추출시설의 구축에는 1곳당 국비 50억원이 지원된다. 올해 책정된 국비는 총 250억원으로 남은 2개소는 하반기 중 공고할 계획이다.
중규모 수소추출시설은 광주광역시, 경남도 창원시 총 2개 지역이 뽑혔다. 중규모 수소추출시설에서는 일평균 약 4톤의 수소를 생산한다. 이는 버스는 150대, 승용차는 1만대를 하루동안 운영할 수 있다. 시설구축에는 2년 간 160억원의 국비가 지원된다. 개소당 약 80억원이 소요되는 셈이다.
산업부는 국내 수소 공급의 경제성‧안정성을 증가시켜 수소 모빌리티 확산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했다.
수소승용차의 현재 보급 수준은 1만5158대로 2년 뒤인 2022년에는 6만5000대, 2040년에는 275만대로 대폭 늘린다는 계획이다. 수소버스 역시 현재 195대 수준에서 2022년 2000대로 늘리고, 2040년에는 다시 20배 가량 성장시켜 4만대로 늘리는 것을 목표로 잡았다. 수소충전소는 2020년 154개에서 2022년 310개로 2배 가량 늘리고, 2040년에는 1200개까지 세울 전망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이번 수소추출시설의 추가 구축으로 국민들이 편리하게 수소 모빌리티 인프라를 조기 구축하여, 글로벌 수소경제 선도국가로 도약하기 위해 적극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