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수소경제 '묻고 더블로'…정부, 수소차 5만대분 추출시설 구축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박성준 기자
입력 2020-05-19 11:30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소규모 3곳 중규모 2곳 수소추출시설 구축

  • 수소추출시설 추가 구축으로 2040년 수소승용차 275만대 운영 구상

정부가 수소경제 활성화를 위해 수소추출시설 추가 구축에 나섰다. 수소추출시설은 정부가 선정한 5개의 지자체에서 연간 약 7400톤을 생산할 예정이다. 이는 수소승용차 4만9000여대를 연간 운영할 수 있는 양이다. 정부는 2022년까지 수소승용차 보급을 6만5000대까지 늘린다는 계획이다. 현재 수소승용차는 2020년 기준으로 1만5158대가 보급됐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9일 수소추출시설 구축사업 지원대상을 최종 선정했다. 수소추출시설은 소규모 3곳과 중규모 2곳으로 나눴다.

소규모 추출시설은 부산광역시, 대전광역시, 강원도 춘천시 총 3개 지역​이 선정됐다. 이곳에서는 일평균 약 1톤의 수소를 추출한다. 이는 수소버스 40대를 하루동안 돌릴 수 있는 양이다. 소규모 추출시설의 구축에는 1곳당 국비 50억원이 지원된다. 올해 책정된 국비는 총 250억원으로 남은 2개소는 하반기 중 공고할 계획이다.

중규모 수소추출시설은 광주광역시, 경남도 창원시 총 2개 지역이 뽑혔다. 중규모 수소추출시설에서는 일평균 약 4톤의 수소를 생산한다. 이는 버스는 150대, 승용차는 1만대를 하루동안 운영할 수 있다. 시설구축에는 2년 간 160억원의 국비가 지원된다. 개소당 약 80억원이 소요되는 셈이다.

산업부는 이 같은 수소추출시설 구축사업을 통해 연간 약 7400톤의 수소 공급을 추가로 이어간다는 구상이다. 이는 1년 동안 수소버스 760대, 수소승용차 4만9000대를 운영할 수 있는 분량이다.

산업부는 국내 수소 공급의 경제성‧안정성을 증가시켜 수소 모빌리티 확산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했다.

수소승용차의 현재 보급 수준은 1만5158대로 2년 뒤인 2022년에는 6만5000대, 2040년에는 275만대로 대폭 늘린다는 계획이다. 수소버스 역시 현재 195대 수준에서 2022년 2000대로 늘리고, 2040년에는 다시 20배 가량 성장시켜 4만대로 늘리는 것을 목표로 잡았다. 수소충전소는 2020년 154개에서 2022년 310개로 2배 가량 늘리고, 2040년에는 1200개까지 세울 전망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이번 수소추출시설의 추가 구축으로 국민들이 편리하게 수소 모빌리티 인프라를 조기 구축하여, 글로벌 수소경제 선도국가로 도약하기 위해 적극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추가 수소추출시설 개요 [사진=산업통상자원부 제공]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