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 1900만 명 이상이 프로축구 K리그1의 뒤늦은 개막전을 지켜봤다.
19일 한국프로축구연맹은 지난 8~10일 열린 프로축구 K리그1 1라운드 6경기를 중계로 지켜본 전 세계 시청자 수가 1554만 7000명이라고 밝혔다. 여기에 K리그1 개막전을 중계한 플랫폼 유튜브, 트위터 접속자 360만 명을 합치면 전 세계에서 1914만여 명이다.
K리그 개막이 주목을 받은 이유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전 세계 대부분 프로축구 리그가 멈춘 가운데 K리그만 유일하게 개막했기 때문이다.
연맹에 의하면 K리그 중계 판권은 개막 직전 중계권을 구매한 포르투갈 방송사 ‘채널11’을 포함해 총 37개국에 팔렸다.
1라운드 6경기 기준 해외에서 가장 많은 시청자를 기록한 나라는 중국이다. 중국과 마카오에 영상을 중계한 ‘K-BALL'과 ’PPTV'의 시청자 수는 총 580만 명에 달했다.
이어 인도와 파키스탄 등 인도권 방송사 '판코드‘(FANCODE)를 통해선 520만 명의 시청자가 K리그1 개막전을 봤다.
한편, K리그1 2라운드 네이버 중계 동시 접속자 수는 3만 4102명으로 집계됐다. K리그2는 1만 3016명이었다.
한국프로축구연맹은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이번 시즌 무관중으로 경기를 진행 중이다.
19일 한국프로축구연맹은 지난 8~10일 열린 프로축구 K리그1 1라운드 6경기를 중계로 지켜본 전 세계 시청자 수가 1554만 7000명이라고 밝혔다. 여기에 K리그1 개막전을 중계한 플랫폼 유튜브, 트위터 접속자 360만 명을 합치면 전 세계에서 1914만여 명이다.
K리그 개막이 주목을 받은 이유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전 세계 대부분 프로축구 리그가 멈춘 가운데 K리그만 유일하게 개막했기 때문이다.
연맹에 의하면 K리그 중계 판권은 개막 직전 중계권을 구매한 포르투갈 방송사 ‘채널11’을 포함해 총 37개국에 팔렸다.
이어 인도와 파키스탄 등 인도권 방송사 '판코드‘(FANCODE)를 통해선 520만 명의 시청자가 K리그1 개막전을 봤다.
한편, K리그1 2라운드 네이버 중계 동시 접속자 수는 3만 4102명으로 집계됐다. K리그2는 1만 3016명이었다.
한국프로축구연맹은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이번 시즌 무관중으로 경기를 진행 중이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0/05/19/20200519132615140840.jpg)
10일 오후 강원 춘천 송암스포츠타운 경기장에서 무관중으로 2020 K리그1 강원FC와 FC서울 경기가 열리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