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들의 '등교 개학'이 코로나19 감염 확산으로 이어지지 않았다는 유럽연합(EU)의 잠정 결론이 나왔다. 유럽 22개국이 철저한 감염 보호 조치 속에서 학생들의 등교를 재개한 경험을 바탕으로 내린 답이다.
18일(현지시간) 영국 일간지 가디언 등 외신은 이날 EU 교육장관 회의에서 등교 개학 조치가 코로나19 감염 사태로 이어지지 않는다는 결론을 도출했다고 보도했다.
이날 회의는 영국과 프랑스 사이에서 등교 개학 안전성을 놓고 논쟁이 벌어지면서, EU 안에서 등교를 시행하고 있는 22개국의 교육장관들을 화상으로 소집하게 됐다. 이들 22개국 중 17개국은 중등과정의 마지막 학년과 유치원, 초등학교의 등교를 재개한 상태다.
이날 EU 의장국인 크로아티아의 블라젠카 디비악 교육부 장관은 "개학 이후 아이나 부모, 학교 직원 사이에서 감염자 수가 의미 있는 증가세를 보이지 않았다"며 "EU는 개학에 따른 부정적 여파가 없다는 쪽으로 의견을 같이했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이러한 결과는 가능한 한 학교를 안전하게 하기 위한 특별 조치가 행해진 가운데 나왔다는 점을 염두에 둬야 한다"면서 학교 내 철저한 감염 보호 조치를 강조했다. 다만, 디비악 장관은 "현재까지는 개학에 따른 부정적인 소식이 들리지 않았지만, 결론을 내리기에 너무 이른지도 모른다"고 덧붙였다.
프랑스는 지난 11일 봉쇄조치 해제와 함께 유치원과 초등학교 저학년을 대상으로 순차적 개학을 실시했다. 전국 4만 개 유치원과 초등학교 중 30%가 등교 재개를 우선적으로 시작한 상태에서 지난주 15개 지역의 학교 70곳에서 확진자가 발생하며 해당 학교들을 폐쇄하기도 했다.
장미셸 블랑케 프랑스 교육부 장관은 이에 대해 "이 같은 일이 일어나는 것은 불가피하지만 소수에 불과하다"면서 "감염 사례 대다수가 학교 밖에서 일어났다"고 강조했다. 학교에 머무는 것이 집에 있는 것보다 더 안전하다는 의료진의 견해도 덧붙였다.
그는 코로나19 사태로 프랑스 내 학생 70%가 집에서 학교 수업을 따라가고 있지만 50만명은 중퇴 위기라는 집계를 제시하면서 "특히 빈곤 가정 아이들이 큰 영향을 받고 있다. 근본적으로는 학교에 가는 사회로 다시 돌아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프랑스 정부는 다음 달 중순 전체 학교의 완전 개학을 목표하고 있다.
18일(현지시간) 영국 일간지 가디언 등 외신은 이날 EU 교육장관 회의에서 등교 개학 조치가 코로나19 감염 사태로 이어지지 않는다는 결론을 도출했다고 보도했다.
이날 회의는 영국과 프랑스 사이에서 등교 개학 안전성을 놓고 논쟁이 벌어지면서, EU 안에서 등교를 시행하고 있는 22개국의 교육장관들을 화상으로 소집하게 됐다. 이들 22개국 중 17개국은 중등과정의 마지막 학년과 유치원, 초등학교의 등교를 재개한 상태다.
이날 EU 의장국인 크로아티아의 블라젠카 디비악 교육부 장관은 "개학 이후 아이나 부모, 학교 직원 사이에서 감염자 수가 의미 있는 증가세를 보이지 않았다"며 "EU는 개학에 따른 부정적 여파가 없다는 쪽으로 의견을 같이했다"고 밝혔다.
프랑스는 지난 11일 봉쇄조치 해제와 함께 유치원과 초등학교 저학년을 대상으로 순차적 개학을 실시했다. 전국 4만 개 유치원과 초등학교 중 30%가 등교 재개를 우선적으로 시작한 상태에서 지난주 15개 지역의 학교 70곳에서 확진자가 발생하며 해당 학교들을 폐쇄하기도 했다.
장미셸 블랑케 프랑스 교육부 장관은 이에 대해 "이 같은 일이 일어나는 것은 불가피하지만 소수에 불과하다"면서 "감염 사례 대다수가 학교 밖에서 일어났다"고 강조했다. 학교에 머무는 것이 집에 있는 것보다 더 안전하다는 의료진의 견해도 덧붙였다.
그는 코로나19 사태로 프랑스 내 학생 70%가 집에서 학교 수업을 따라가고 있지만 50만명은 중퇴 위기라는 집계를 제시하면서 "특히 빈곤 가정 아이들이 큰 영향을 받고 있다. 근본적으로는 학교에 가는 사회로 다시 돌아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프랑스 정부는 다음 달 중순 전체 학교의 완전 개학을 목표하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