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0/05/20/20200520121518243496.jpg)
부산장애인일자리통합지원센터에서 장애인 비대면 화상 면접 시연을 하고 있다. [사진=부산시 제공]
부산시는 장기화 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경험을 토대로 장애인 일자리 채용방식을 바꾸기로 했다.
시는 장애인 일자리 영역에 정보통신기술(ICT)을 적용해 차별화된 취업 지원 전략을 수립하고, 지속 가능한 장애인 일자리 서비스를 제공할 방침이라고 20일 밝혔다.
그동안 장애인 일자리 대부분이 단순 노무직과 제조업, 건설업에 편중되는 등 업종이 제한적이었다. 특히 코로나19가 장기화 되면서 장애인 일자리에 대한 대책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었다. 동시에 코로나 이후 ‘언택트(Untact)’ 흐름을 감안해 채용방식에도 변화가 필요했다.
시는 먼저 비대면 화상 면접을 도입했다. 언택트(비대면) 화상 면접을 통해 논스톱(NON-STOP) 취업 지원 서비스를 제공한다. 시는 이를 위해 부산장애인일자리통합지원센터 내 화상면접 전용 공간을 설치해 장소와 이동에 제약 없이 장애인 일자리 상담을 비롯한 기업체 면접을 진행할 계획이다.
내년부터는 VR교육 콘텐츠와 빅데이터를 활용해 구직장애인의 취업 역량을 키워나간다는 계획이다. 면접 교육 서비스를 통해 VR 면접관이 모의 면접자의 시선 처리부터 평균 답변 길이, 목소리 크기, 답변 속도 등에 대한 피드백도 제공한다.
빅데이터 분석기술에 기반한 ‘온라인 자기소개서 완성프로그램’도 도입키로 했다. 이를 통해 키워드 답변만으로 쉽고 빠르게 개인의 경험을 토대로 자기소개서를 작성하고, 전문가와의 수정·보완을 거쳐 자기소개서를 완성하도록 돕는 시스템이다.
부산시 관계자는 “장애인 일자리 관련 기관들과 협력을 강화해 특화된 일자리를 계속 찾아내 변화하는 노동시장에 유연하게 대처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