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은행(WB)의 개발도상국 100개국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지원에서 북한은 제외된 것으로 나타났다. 북한이 세계은행의 비회원국이라는 이유에서다.
세계은행은 19일(현지시간) 코로나19 충격으로 최대 600만명이 극도의 빈곤 상태로 내몰릴 수 있다고 경고하며, 개발도상국 100개국에 대한 지원 계획을 밝혔다.
세계은행에 따르면 지원대상 100개국 중 39개국은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지역에 있다. 또 전체 지원의 약 3분의 1은 아프가니스탄과 차드, 아이티, 니제르 등 취약 지역과 분쟁 영향 지역이다.
다만 북한은 이번 지원에서 제외됐다. 이와 관련 미국의소리(VOA)방송은 세계은행 관계자의 발언을 인용해 “긴급 지원 대상국은 세계은행 가입국이고, 비회원국인 북한은 포함되지 않는다”며 “(북한이) 세계은행 회원국이 되려면 우선 국제통화기금(IMF)에 가입해야 한다는 규정이 있다”고 전했다.
이날 세계은행 홈페이지에 따르면 데이비드 맬패스 세계은행 총재는 코로나19 긴급 지원 관련 기자회견에서 “전 세계적으로 수백만 명의 생계 수단이 파괴되고, 의료 체계가 압박받고 있다”고 지적했다.
맬패스 총재는 코로나19 여파로 세계 경제 성장률이 -5%까지 떨어질 것을 우려하고, 이로 인해 세계 최빈국들의 빈곤을 완화하려는 지난 3년간의 노력이 무의미해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그러면서 개도국이 코로나19 영향에 대응할 수 있도록 향후 15개월 동안 1600억 달러(약 197조원) 보조금과 저금리 대출을 제공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세계은행은 이번 지원에 대해 ‘세계은행 역대 최대 규모에 가장 신속한 위기 대응’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맬페스 총재는 “세계은행이 상당한 지원을 제공하고 있지만, 충분하지 않다”며 최빈국의 부채상환을 일시적으로 연기하기로 한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과 중앙은행 총재들의 결정 이행을 촉구했다.
세계은행은 19일(현지시간) 코로나19 충격으로 최대 600만명이 극도의 빈곤 상태로 내몰릴 수 있다고 경고하며, 개발도상국 100개국에 대한 지원 계획을 밝혔다.
세계은행에 따르면 지원대상 100개국 중 39개국은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지역에 있다. 또 전체 지원의 약 3분의 1은 아프가니스탄과 차드, 아이티, 니제르 등 취약 지역과 분쟁 영향 지역이다.
다만 북한은 이번 지원에서 제외됐다. 이와 관련 미국의소리(VOA)방송은 세계은행 관계자의 발언을 인용해 “긴급 지원 대상국은 세계은행 가입국이고, 비회원국인 북한은 포함되지 않는다”며 “(북한이) 세계은행 회원국이 되려면 우선 국제통화기금(IMF)에 가입해야 한다는 규정이 있다”고 전했다.
맬패스 총재는 코로나19 여파로 세계 경제 성장률이 -5%까지 떨어질 것을 우려하고, 이로 인해 세계 최빈국들의 빈곤을 완화하려는 지난 3년간의 노력이 무의미해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그러면서 개도국이 코로나19 영향에 대응할 수 있도록 향후 15개월 동안 1600억 달러(약 197조원) 보조금과 저금리 대출을 제공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세계은행은 이번 지원에 대해 ‘세계은행 역대 최대 규모에 가장 신속한 위기 대응’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맬페스 총재는 “세계은행이 상당한 지원을 제공하고 있지만, 충분하지 않다”며 최빈국의 부채상환을 일시적으로 연기하기로 한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과 중앙은행 총재들의 결정 이행을 촉구했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0/05/20/20200520142912316448.jpg)
북한 대외선전매체 ‘조선의 오늘’은 13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방역 속 일상으로 복귀한 평양 시민들의 모습을 영상으로 공개했다. [사진=연합뉴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