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은 ‘포스트 코로나’ 시대 일자리 창출을 목적으로 둔 ‘한국판 뉴딜’에 ‘그린 뉴딜’을 포함하기로 했다.
강민석 청와대 대변인은 20일 브리핑에서 문 대통령이 최근 관계부처로부터 그린 뉴딜 사업과 관련한 합동 서면보고를 받고 검토한 한끝에 이같이 결정했다고 밝혔다.
그린 뉴딜은 온실가스 감축 등 기후변화 대응과 함께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하는 정책을 뜻한다. 문 대통령은 지난 12일 국무회의에서 “그린 뉴딜이 화두”라며 환경부, 산업통상자원부(산업부), 중소벤처기업부(중기부), 국토교통부(국토부) 등의 합동 서면보고를 지시한 바 있다.
강 대변인에 따르면 문 대통령은 “그린 뉴딜은 우리가 가야 할 길임이 분명하다”며 “국제사회, 시민사회의 요구를 감안하더라도 인정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또 “그린 뉴딜이 디지털 인프라 구축과 조화를 이루도록 크게 보는 설계가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강 대변인은 한국판 뉴딜에 그린 뉴딜이 포함된 것에 대해 “이번 결정은 아시다시피 문 대통령의 의지가 작용한 결과”라고 전했다.
그러면서 “청와대 정책실과 기획재정부 등 관계부처 협의 통해 한국판 뉴딜은 크게 디지털 뉴딜과 그린 뉴딜 사업으로 밑그림이 정리됐다. 그린 뉴딜 사업의 구체적 내용은 정부 부처가 발표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아울러 그린 뉴딜의 일부 사업이 3차 추가경정예산(추경)안에 반영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문 대통령의 결정에 따라 일자리 창출 국가프로젝트인 한국판 뉴딜 추진 과정에서 그린 뉴딜도 구체화할 것으로 보인다.
지난 10일 취임 3주년 특별연설에서 문 대통령은 한국판 뉴딜의 구체적인 사업으로 △디지털 인프라 구축 △비대면 산업 육성 △국가기반시설 스마트화 등을 제시한 바 있다.
청와대는 그린 뉴딜의 대표적 예로 에너지 효율이 떨어진 노후 건축물의 단열 등을 개선해 에너지 성능을 높이는 그린 리모델링을 언급했다.
청와대 관계자는 이명박 정부의 ‘녹색성장’과 그린 뉴딜의 차이점에 대해 “그린 뉴딜은 녹색성장의 업그레이드 버전”이라고 표현했다.
이 관계자는 “녹생성장을 갈아엎는 게 아니라 디지털화를 심화하고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지속가능성에 무게가 실렸다”며 “대규모 토목공사와는 다르다. 녹색성장 개념의 연장선에 있다”고 부연했다.
한편 그린 뉴딜의 구체적 사업은 다음 달 중으로 발표될 것으로 예측된다.
강민석 청와대 대변인은 20일 브리핑에서 문 대통령이 최근 관계부처로부터 그린 뉴딜 사업과 관련한 합동 서면보고를 받고 검토한 한끝에 이같이 결정했다고 밝혔다.
그린 뉴딜은 온실가스 감축 등 기후변화 대응과 함께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하는 정책을 뜻한다. 문 대통령은 지난 12일 국무회의에서 “그린 뉴딜이 화두”라며 환경부, 산업통상자원부(산업부), 중소벤처기업부(중기부), 국토교통부(국토부) 등의 합동 서면보고를 지시한 바 있다.
강 대변인에 따르면 문 대통령은 “그린 뉴딜은 우리가 가야 할 길임이 분명하다”며 “국제사회, 시민사회의 요구를 감안하더라도 인정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강 대변인은 한국판 뉴딜에 그린 뉴딜이 포함된 것에 대해 “이번 결정은 아시다시피 문 대통령의 의지가 작용한 결과”라고 전했다.
그러면서 “청와대 정책실과 기획재정부 등 관계부처 협의 통해 한국판 뉴딜은 크게 디지털 뉴딜과 그린 뉴딜 사업으로 밑그림이 정리됐다. 그린 뉴딜 사업의 구체적 내용은 정부 부처가 발표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아울러 그린 뉴딜의 일부 사업이 3차 추가경정예산(추경)안에 반영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문 대통령의 결정에 따라 일자리 창출 국가프로젝트인 한국판 뉴딜 추진 과정에서 그린 뉴딜도 구체화할 것으로 보인다.
지난 10일 취임 3주년 특별연설에서 문 대통령은 한국판 뉴딜의 구체적인 사업으로 △디지털 인프라 구축 △비대면 산업 육성 △국가기반시설 스마트화 등을 제시한 바 있다.
청와대는 그린 뉴딜의 대표적 예로 에너지 효율이 떨어진 노후 건축물의 단열 등을 개선해 에너지 성능을 높이는 그린 리모델링을 언급했다.
청와대 관계자는 이명박 정부의 ‘녹색성장’과 그린 뉴딜의 차이점에 대해 “그린 뉴딜은 녹색성장의 업그레이드 버전”이라고 표현했다.
이 관계자는 “녹생성장을 갈아엎는 게 아니라 디지털화를 심화하고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지속가능성에 무게가 실렸다”며 “대규모 토목공사와는 다르다. 녹색성장 개념의 연장선에 있다”고 부연했다.
한편 그린 뉴딜의 구체적 사업은 다음 달 중으로 발표될 것으로 예측된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0/05/20/20200520173410553520.jpg)
문재인 대통령이 18일 청와대 본관 집무실에서 세계보건기구(WHO) 세계보건총회(WHA) 초청 연설을 하고 있다. [사진=청와대 제공]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