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태년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는 21일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의 체계·자구 심사권과 관련해 “대단히 실무적인 기능이기 때문에 사무처에 별도의 기구를 만들면 된다”고 말했다.
김 원내대표는 이날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국회 내에 체계·자구 심사 기능을 완전히 없앨 수는 없다. 그걸 왜 꼭 법사위에서 해야 되느냐”며 이같이 말했다.
그러면서 “사무처 직원과 전문위원들로만 하자라는 게 아니다”라며 “국회 구성원과 외부의 전문가들이 체계·자구 심사를 할 수 있는 별도의 기구를 만들어서 그 문제를 해결하면 된다”고 강조했다.
‘예결위원장과 법사위원장을 야당이 가져가겠다는 입장’에 대해 묻자 김 원내대표는 “이런 관행이 우리 국회의 기능과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는 데 있어서 올바르게 작동했는지 안 했는지부터 한번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아울러 “원 구성과 관련해선 주호영 미래통합당 원내대표와 많은 만남을 통해서 아주 깊은 이야기를 할 것”이라며 “그 과정들을 한 번 지켜보시면 좋을 것 같다”고 했다.
이어 “예결위원장은 집권 여당이 당연히 책임 있게 맡아서 역할을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김 원내대표는 이날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국회 내에 체계·자구 심사 기능을 완전히 없앨 수는 없다. 그걸 왜 꼭 법사위에서 해야 되느냐”며 이같이 말했다.
그러면서 “사무처 직원과 전문위원들로만 하자라는 게 아니다”라며 “국회 구성원과 외부의 전문가들이 체계·자구 심사를 할 수 있는 별도의 기구를 만들어서 그 문제를 해결하면 된다”고 강조했다.
‘예결위원장과 법사위원장을 야당이 가져가겠다는 입장’에 대해 묻자 김 원내대표는 “이런 관행이 우리 국회의 기능과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는 데 있어서 올바르게 작동했는지 안 했는지부터 한번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예결위원장은 집권 여당이 당연히 책임 있게 맡아서 역할을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발언하는 김태년 원내대표. 더불어민주당 김태년 원내대표가 21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정책조정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