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인문사회연구회는 다음 달 중순께 인도네시아 산업부 연구진과 함께 '메이킹 인더스트리 4.0' 구현을 위한 화상 콘퍼런스를 연다. 애초 지난 4월 대규모 오프라인 콘퍼런스를 준비했으나 코로나19 확산으로 미뤄졌다가 이번에 화상 콘퍼런스로 대체됐다.
인도네시아와의 공동 연구는 2018년 9월 한-인니 정상회담 이후 합의된 내용이다. 인도네시아는 2억 7352만 명의 인구를 기록하고 있다. 세계 4위 수준의 최대 인구 규모다.
내수시장 규모 자체가 크다보니 국내 경제·산업의 진출과 협력으로 상호 상당한 시너지 효과를 거둘 수 있는 국가이기도 하다.
경인사연과 인도네시아 산업부는 지난해 6월 산업혁신 연구 협력을 위한 협약을 맺고 실무공동위원회를 설립하기로 합의하기도 했다.
다만, 코로나19 여파로 인도네시아 감염 확산 상태는 우리나라보다 심각한 실정이다. 21일 기준으로 확진자는 1만8496명에 달할뿐더러 현재까지 사망자는 1221명(6.6%)에 이른다.
산업 발전 등을 위한 공동연구도 필요하지만, 당장 인도네시아 국민이 생존의 위기에 내몰렸다. 위기 극복을 위한 대안 마련이 절실한 상황이다.
이런 분위기 속에서 경인사연은 인도네시아 산업부와의 공동연구 과제의 우선순위를 '바이오'산업으로 맞춰 잡았다.
특히, 드라이브 스루 검진·통신망을 통한 역학조사 등 K-방역체제의 효과가 전 세계에 알려진 만큼 인도네시아 정부도 바이오산업의 공동연구를 서둘러 국민의 안전부터 챙겨보자는 데 공감한 것으로 알려진다.
이미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신산업 영역에 바이오산업이 포함된 만큼 우리나라와 인도네시아는 공동연구를 통해 바이오 산업에서의 주도권을 쥘 수 있는 계기도 함께 찾을 예정이다.
더구나 사스(SARS·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메르스(MERS·중동호흡기증후군)·코로나19(Covid-19) 등 바이러스는 대략 5년 주기로 확산하면서 세계인의 생명을 위협하고 있다 보니 바이오산업에 대한 수요는 급증할 것이라는 예상도 나온다.
한편으론 이런 국제사회와의 공동연구가 최근 들어 확대하는 국수주의·보호주의에 맞서 제대로 성과를 내지 못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도 들린다. 미국·중국 간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갈등이 심화하고 있고 국가 간 위기 극복을 위한 전략이 달라 공동연구 성과를 수용할 수 있을지 확신하기도 어렵다.
성경륭 경인사연 이사장은 "우선 K-방역체계의 노하우를 세계에 알리고 해당 국가 시스템과 인재를 양성하는 등 '커페서티 빌딩(Capacity Building) 차원의 접근이 필요할 때"라며 "이는 한국 정부가 비전으로 삼은 선도 국가를 뛰어넘어 포용국가 연합체제라는 가치로 뻗어 나가야 하며 이를 통한 광범위한 공동 연구는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세계 각국 정부에게도 충분히 도움이 되리라 본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