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이 22일 발표한 '신성장품목 수출 동향과 시사점'에 따르면 8대 신산업의 올해 1분기 수출액은 210억 달러로 작년 1분기보다 17% 늘었다.
8대 신산업에는 전기자동차, 로봇, 바이오헬스, 항공·드론, 에너지 신산업, 첨단 신소재, 차세대 디스플레이, 차세대 반도체 등이 포함된다.
이 가운데 수출 규모가 큰 차세대 반도체와 '전염병 특수'를 누린 바이오헬스 수출은 각각 22.9%와 26.3% 증가했다. 항공·드론(38.0%), 전기자동차(25.1%) 등도 큰 폭의 증가세를 보였다. 다만 에너지신산업(-4.7%), 로봇(-4.6%), 첨단 신소재(-1.5%)는 감소했다.
같은 기간 전체 수출은 1.4% 감소했다. 특히 정부가 2006년 선정한 반도체, 기계, 석유제품, 자동차 등 13대 수출 주력 제품은 수년간 감소세를 보였고, 1분기에는 작년 동기 대비 3.7% 줄었다.
8대 신산업에 정부가 2016년 선정한 5대 유망 소비재(농수산식품·화장품·생활유아용품·패션의류·의약품)과 2019년 꼽은 유망산업(플라스틱제품·정밀화학원료)까지 신성장품목의 수출 경쟁력도 강해졌다.
신산업 무역특화지수는 2015년 0.11에서 2019년 0.21로 뛰었다. 무역특화지수는 특정 상품의 세계 시장에서의 비교우위를 가늠하는 잣대로 그만큼 경쟁력이 개선됐다는 뜻이다.
특히 화장품은 K뷰티가 가장 큰 폭의 성장세를 보이며 무역특화지수가 2015년 0.35에서 2019년 0.61로 높아졌다. 코로나19가 본격화한 올 1분기 바이오헬스와 첨단신소재의 무역특화지수 역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0.06, 0.02 올랐다.
이들 품목의 경쟁력이 강화하면서 총수출에서 신성장품목이 차지하는 비중은 2015년 16.9%에서 2019년 22.6%로 4년간 꾸준하게 확대됐다.
이진형 무협 수석연구원은 "과거 우리 수출을 지탱해오던 13대 주력 품목의 비중이 점차 줄어들고 신성장 품목이 그 자리를 채우고 있다"면서 "포스트 코로나19 시대에 대비해 새로운 유망품목 발굴 및 육성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 연구원은 "앞으로 화상회의나 온라인 강의 장비 등 디지털 장비와 헬스케어 제품 등에 대한 수요가 전 세계적으로 커질 것"으로 내다봤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