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호중 더불어민주당 사무총장이 27일 21대 국회 원 구성 협상과 관련해 "절대 과반 정당인 민주당이 상임위원장 전석을 가지고 책임 있게 운영하는 게 민주주의 원칙에 맞다"고 밝혔다.
윤 사무총장은 이날 양재동 더케이호텔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 직후 "상임위원장 배분 문제를 갖고 야당과 협상을 할 일이 아니다"라며 이같이 말했다.
윤 사무총장은 "'법제사법위원회를 누가 갖느냐, 예산결산특별위원회를 누가 갖느냐' 이런 형태의 협상이라는 것은 존재할 수 없다"며 "국회가 국민의 힘으로 표로 구성되는 그 순간 이미 이 문제는 논란의 여지가 없는 것이 된 것"이라고 했다.
윤 사무총장은 "우리가 몇 석이고, 상임위원장 11개와 7개 같은 이야기도 미래통합당 수석부대표의 일방적인 주장일 뿐"이라며 "김태년 원내대표도 이런 원칙적인 주장에서 벗어난 적 없다는 입장이다"라고 강조했다.
윤 사무총장은 "13대 국회 이전까지는 다수지배 국회였다. 그 이후 과반 정당이 나오지 않아서 상임위원회를 나눠 가졌다"며 "과반이 안 나오니 다수결 제도가 아닌 합의제로 운영했고, 이를 위해 상임위원회 운영도 여야 합의로 한 것"이라고 말했다.
윤 사무총장은 "과거 방식으로 돌아간다면 발목잡기, 동물국회, 식물국회가 되는 관행을 뿌리 뽑지 못하고, 21대 국회가 국민의 뜻을 저버린다는 강력한 지적이 있었다"고 부연했다.
윤 사무총장은 이날 양재동 더케이호텔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 직후 "상임위원장 배분 문제를 갖고 야당과 협상을 할 일이 아니다"라며 이같이 말했다.
윤 사무총장은 "'법제사법위원회를 누가 갖느냐, 예산결산특별위원회를 누가 갖느냐' 이런 형태의 협상이라는 것은 존재할 수 없다"며 "국회가 국민의 힘으로 표로 구성되는 그 순간 이미 이 문제는 논란의 여지가 없는 것이 된 것"이라고 했다.
윤 사무총장은 "우리가 몇 석이고, 상임위원장 11개와 7개 같은 이야기도 미래통합당 수석부대표의 일방적인 주장일 뿐"이라며 "김태년 원내대표도 이런 원칙적인 주장에서 벗어난 적 없다는 입장이다"라고 강조했다.
윤 사무총장은 "과거 방식으로 돌아간다면 발목잡기, 동물국회, 식물국회가 되는 관행을 뿌리 뽑지 못하고, 21대 국회가 국민의 뜻을 저버린다는 강력한 지적이 있었다"고 부연했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0/05/27/20200527113314633853.jpg)
윤호중 더불어민주당 당시 선대본부장이 3월 29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민주당 홍보ㆍ유세 콘셉트 발표 기자간담회에서 질문에 답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