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측이 한·미 방위비분담금특별협정(SMA)서 새로운 항목 신설 등 증액 내역을 제시하는 압박에도 별다른 소득이 없자, 우회 전략을 모색하는 것 아니냐는 것이다.
B-1B는 B-52, B-2와 함께 미국 3대 전략폭격기 중 하나다. B-1B의 한반도 전개는 표면적으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행보와 밀접하게 연관돼 있다.
전날 B-1B 2대가 괌 앤더슨 공군기지에서 이륙해 동중국해를 거쳐 대한해협과 동해, 일본 상공을 비행했다. 지난 24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노동당 중앙군사위원회 확대회의를 열고 ‘핵 전쟁 억제력’ 강화 방침을 밝힌 것에 대한 대응이란 해석이다.
지난 2일, 건강 이상설이 불거졌던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20일 만에 모습을 드러냈다. 비슷한 시각, 미국 B-1B 편대가 B-52 전략폭격기를 대신 괌에서 일본 동쪽 상공에 전개됐다.
그러나 B-1B 한반도 전개의 목적이 대북 견제에만 있는 것은 아니라는 게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미군은 지난 4월 16일 B-52 전폭기를 괌에서 철수시켰다. 전략폭격기는 본토에 둔다는 방침에서다. 그런데 엿새 후 B-52 대신 B-1B가 괌에서 이륙해 일본 항공자위대와 연합훈련을 벌였다.
미국 측이 기존 입장을 번복한 것이다. 당시 방위비에 전략자산 전개 비용을 포함시키지 않는 것에 대한 불만을 표출한 게 아니냐는 분석이 제기됐다.
전략자산은 분담금 대폭 인상의 주요 명분 중 하나였다. 하지만 한국 측이 이를 받아들이지 않자 의도적으로 우리와의 연합공중훈련에는 B-1B와 같은 전략자산을 투입하지 않고, 일본에만 전략자산이 제공되는 것처럼 연출했다는 것이다.
미국은 현재 당초 방위비 분담금 증액을 위해 제시했던 '전략자산 전개비용 항목 신설'에서는 한 발 물러났다. 그러나 여전히 항목 철회에 상응하는 비용을 요구하고 있는 만큼, SMA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해 잇달아 B-1B를 한반도에 투입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문성묵 한국국가전략연구원 통일전략센터장 "전략자산인 B-1B의 항적까지 굳이 노출하면서 한반도에 전개한 것에 뒷말이 나올 수 밖에 없다"며 "북한의 도발 억제를 위해 쓰인 미국 측 경비는 당연히 한국에도 책임이 있다는 논리를 부각시키기 위함일 수 있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