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낙연 코로나19국난극복위원장이 오는 8월 전당대회에 출마하기로 결심한 데 이어 김부겸 의원도 출마 쪽에 무게를 두고 최종 결정을 앞두고 있다.
당초 이 위원장과 홍영표·우원식 의원 간의 3파전 구도가 유력했으나 김 의원까지 출마할 경우 전당대회가 사실상 대선 전초전으로 흘러갈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김 의원 측 관계자는 28일 통화에서 "당권 도전을 진지하게 고민하고 있다"며 "이번 주말을 넘기지 않고 결론을 내릴 것"이라고 밝혔다.
대구 수성갑에서 낙선한 이후 김 의원이 당권을 거치지 않고 대권으로 직행할 것이란 관측이 나왔다. 당권·대권 분리 규정으로 인해 당권을 잡더라도 '임기 6개월 당 대표'가 돼야 한다는 점이 부담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최근 김 의원 주변에서는 당권을 거쳐 대권으로 가야 한다는 분위기가 형성된 것으로 전해졌다.
여기에는 여권의 유력 대권 주자인 이 위원장이 출마 쪽으로 가닥을 잡으면서 이번 전당대회가 새로운 판으로 짜였다는 판단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김 의원이 전대 출마를 결심한다면 영남권 대표주자로서 통합의 메시지를 명분으로 내세울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그러나 4파전이 될 경우 구도는 복잡해진다.
일단 대권 주자인 동시에 당권 주자인 이 위원장과 김 의원 간 전선이 부각되면서 호남(이낙연) 대 영남(김부겸) 등 지역 구도가 변수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
두 사람은 문재인 정부에서 각각 국무총리와 행정안전부 장관을 지냈지만 친문(친문재인) 진영의 확실한 지지는 확보하지 못한 상황이라 '친문' 표심을 놓고도 경쟁이 가열될 수 있다.
전대 경쟁이 치열해질수록 후보들 간의 자연스러운 교통정리 가능성도 작아진다.
한편 이 위원장 측은 전대 출마 선언 시기를 고심 중이다.
이미 출마는 기정사실화한 만큼 출마 선언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타이밍'을 저울질 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 위원장 측 관계자는 "코로나19국난극복위 활동과 국회 개원 상황 등을 고려해 출마 발표 시기가 6월 초를 넘어갈 가능성도 없지 않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