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선 수소차의 경우는 정부와 민간이 합심해서 자동차 생산은 물론 충전소의 보급 확대에 열을 올리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현재 전국에 수소충전소는 총 27개(연구용 제외)가 있다. 최근에는 수소뿐만 아니라 전기와 LPG 등 모든 에너지를 함께 충전할 수 있는 융복합 형태로 짓고 있다.
수소충전소는 2011년 정도부터 조금씩 늘기 시작했다. 이어 정부가 지난해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 발표하면서 16기가 세워졌다.
정부는 지난해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을 통해 2022년까지 수소충전소 310기, 2040년까지 1200기의 충전소를 구축키로 했다. 올해 4월 말 기준으로 전국의 수소차는 7000여대가 운행되고 있다.
최근에는 수소차 5만대분의 수소를 확보할 수 있는 추출 생산기지를 구축하도록 전국 5개 지역을 선정했다.
수소추출시설 구축사업은 수소경제 초기 수소차와 버스 등 수소 교통망 조성을 목적으로 진행된다.
또한 정부는 2030년까지 공공기관과 국가기관, 지자체 등 공공부문이 보유한 친환경차 비율을 대폭 늘려 수소경제를 뒷받침할 계획이다. 정부가 2030년까지 목표로 잡은 공공부문 친환경차 비율은 90%다. 현재 공공부문 전기‧수소차 보유 비율은 7%에 불과하다.
수소 연료 전지의 보급도 확대하고 있다. 연료전지는 한국이 글로벌 보급량의 40%를 점유하며 세계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 지난해 말 기준 한국의 연료전지 발전량은 408MW로 미국의 382MW, 일본의 245MW보다 많다.
이 때문에 수소 연료전지를 개발해 수소경제 활성화에도 힘을 보태려는 시도를 하고 있다. 지난 4월에는 현대차의 수소연료전지시스템을 미국·유럽에 수출할 수 있도록 산업기술보호위원회가 심의를 거치기도 했다. 수소차가 아닌 수소연료전지시스템 단독 수출은 처음이다.
또한 가정용 수소 연료전지의 보급 확대를 위한 작업도 진행 중이다. 최근 차세대 수소 연료전지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시스템(SOFC)'이 시장에 출시될 수 있도록 산업융합 신제품 적합성인증이 부여됐다.
적합성인증은 융합 기술이 적용된 새로운 제품이 기존 인증을 받을 수 없을 때 인증을 신속히 부여하는 제도다.
적합성인증을 취득한 고체산화물 수소 연료전지 시스템은 세라믹 전해질과 저가 촉매를 적용해 전력을 생산한다. 수소경제에 걸맞은 친환경 발전시스템이다. 특히 기존의 연료전지보다 안전하고 원가가 저렴해 차세대 수소 연료전지로 평가받는다.
시장에 조기 출시될 가능성이 커지면서 수소경제의 가정용 저변도 넓히게 됐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